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차 비상 워룸 "고용증대 위해 대졸초임 낮춰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15일 청와대 지하벙커에서 열린 2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는 고용창출을 위한 일자리 나누기와 관련,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졌다.

이날 회의는 일자리 유지와 창출을 위해 예산 조기집행 대책에 초점을 맞췄다. 오전 7시 30분부터 9시 45분까지 두 시간 이상 진행된 이날 회의에는 특히 정부 14개 부처 상황실장도 참석했다.

우선 이영희 노동부 장관은 지난해 12월 마이너스로 돌아선 고용동향을 예로 들며 "개별 기업 상황에 맞춰 위기 극복을 위해 노사가 한발씩 양보해야 한다"며 "고통분담에 나서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전광우 금융위원장은 주요국의 1인당 GDP 대비 금융업계 대졸초임을 언급, "미국 61%, 일본 135%인데 한국은 2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며 거품을 지적했다.

김기환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은 "고용증대를 위해 대졸초임을 낮추는 방안을 필요하다"며 "공기업에서 먼저 선도하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제안했다. 이어 "재정지원 사업은 고용유발 효과가 높은 분야부터 우선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좋겠다"고 덧붙였다.

최종찬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은 "정부가 일자리 대책을 발표할 때 기준을 통일해서 국민들이 실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여러 부처에서 통일된 기준 없이 일자리 대책이 제시돼 국민들에게 혼선 주는 경우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추가 경기 악화에 대비해 추경을 준비할 필요가 있지 않겠느냐"며 "어려운 때일수록 ▲ 교육시설 재투자 ▲ 국토지리정보 전산화 ▲ 교통자동화시스템 등의 분야에 적극적으로 재정을 투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성곤 기자 skzero@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