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우리銀 '자본확충펀드 스타트'..은행권 요청 가속화되나

이종휘 우리은행장 "2조원 규모 자본확충펀드 요청 계획"
김정태 하나은행장 "자본확충펀드 아직까지 계획없다"


우리은행이 시중은행 중 처음으로 자본확충펀드 지원을 받아 자본조달에 나선다.

국민·신한·하나 등 다른 시중은행들도 당장 자본확충펀드에 지원 요청을 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이지만, 향후 지속적인 경기악화로 자체적인 자본확충이 어려울 경우 지원 요청을 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중은행들이 자본확충펀드의 지원을 받는 것은 금융감독당국이 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12%, 기본자기자본비율(Tier1) 9%를 맞추도록 권고했기 때문이다.

정부가 대주주인 우리금융지주 계열 우리은행은 그동안 모회사로부터 증자 등 자체적인 자본확충 노력에도 불구하고 감독당국의 권고치를 맞추지 못함에 따라 다른은행들에 앞서 시범적으로 지원을 받게됐다.

우리은행이 향후 2조원 규모로 하이브리드채권을 발행하면, 자본확충펀드가 이를 매입하게 된다. 펀드는 한국은행의 대출을 활용하기 때문에 각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채권을 발행하는 것에 비해 조달금리가 낮다.

이 때문에 다른 시중은행들 역시 당장은 자본확충펀드 지원을 받지 않는다는 계획이지만, 향후 중기 대출확대 등으로 BIS비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할 경우 잇따른 동참이 전망되고 있다. 특히 지주회사 계열이 아닌 일반은행들의 경우 대규모 자본을 조달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는 점에서 우선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금융당국이 하이브리드채권을 기본자기자본으로 인정해주는 범위를 두배로 늘려줬고, 자본확충펀드를 통해 이를 우선매입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에 하이브리드채 발행을 통한 자본확충이 수월하다는 이점도 있다.

다만 펀드의 지원을 받는 곳은 금융당국으로부터 ▲비용절감 등 자구노력 ▲중기ㆍ서민지원 등 실물지원 ▲M&A 등 불필요한 자산확대 자제 등 지원조건을 요구받게 돼 한국씨티, SC제일은행 등 외국계은행의 참여는 좀 더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 관계자는 “우리은행 신청이 정식으로 들어오면 자금조성을 하겠다”며 “캐피탈콜 방식이기 때문에 신청 들어온 것만큼 자금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

박수익 기자 sipark@asiae.co.kr
유윤정 기자 you@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