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세계 프리미엄 OLED 점유율 92%…'아이폰16 효과 반영시 수출비중 역대최대'

상반기 디플 수출 89억弗…전년比 16.2%↑
OLED 시장 전년비 23.2% 증가…전체 36%
이동욱 디플협 부회장 "세액공제 일몰기한 5년 연장"

한국이 상반기 스마트폰 등 프리미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 점유율 90% 이상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은 전년 대비 13% 늘었는데, OLED 비중은 약 33%에서 36%로 확대됐다.

이동욱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이 30일 서울 송파구 협회 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문채석 기자]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30일 서울 송파구 디스플레이산업회관에서 '2024년 상반기 수출 실적 및 하반기 전망'을 발표했다. 디스플레이는 지난해 8월부터 11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를 기록하며 상반기 수출액이 전년 대비 16.2% 증가한 약 89억달러(약 12조3000억원)를 기록했다.

상반기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은 전년 대비 13% 증가한 608억달러(약 84조1000억원)였다. IT·TV 등 중·대형시장에서 OLED 채택이 늘면서 전년 대비 23.2% 증가한 217억달러(약 30조원)로 전체 시장의 36%를 점유했다.

한국 상반기 수출액 중 OLED 비중은 약 70%였다. 전년 대비 약 10% 늘어난 63억달러(약 8조7000억원)였다. 국내 기업들이 액정표시장치(LCD)에서 OLED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전환하면서 수출 비중이 커졌다.

상반기 대(對)중국 아이폰 등 스마트폰 패널 수출이 약 3.1% 감소했지만 OLED 적용 IT 신제품 출시, 미국·유럽 등 선진국 중심 TV 수요 회복 등으로 전체 수출액은 늘어났다.

특히 글로벌 고객의 스마트폰·태블릿·노트북·TV·모니터 등 5대 품목 프리미엄 OLED 점유율에서 한국이 91.7%를 차지하면서 중국을 압도했다. 이와 관련해 이동욱 협회 상근부회장은 "한국 기업은 중국 업체보다 OLED 기술에서 2년가량 앞서 있다"고 말했다.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 수출 실적도 늘었다. 상반기 소부장 디스플레이 장비 수출은 전년 대비 22.2%, 유기재료는 8.3% 늘었다. 기술 개발로 경쟁력이 높아졌고 업황도 회복됐기 때문이다. 소부장 국산화율은 71.5%였다. 협회는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 생태계가 본격적으로 수출산업화되고 있다"고 했다.

조은숙 한국디스플레이협회 산업정책실장이 30일 서울 송파구 협회 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수출 현황과 전망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사진=문채석 기자]

올해 OLED 수출 비중은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 75.8%를 웃돌 것으로 협회는 내다봤다. 하반기 아이폰16 시리즈, 투스택탠덤 OLED가 적용된 IT 제품 등이 출시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지난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가 아이폰16 모델에 인공지능(AI) 기능 '애플 인텔리전스'를 탑재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지만, 디스플레이 수출 호조세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전망이다.

조은숙 협회 산업정책실장은 "최근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길어지고 있는 가운데 아이폰에 AI 기능이 탑재되면 판매 수요가 늘어 국내 패널 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며 "아이폰16 시리즈 AI 기능 적용 시점이 미뤄져도 한국 디스플레이 수출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반기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0.3% 증가한 706억달러(약 97조7000억원)로 전망했다. OLED는 16.1% 늘어난 288억달러(약 39조9000억원), LCD는 5.8% 증가한 408억달러(약 56조5000억원)로 예상했다.

한편 협회는 정부가 최근 발표한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 일몰 기한에 대해 3년이 아닌 5년으로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액공제율도 올려달라고 했다. 현재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율은 대기업 기준 연구개발(R&D) 30~40%, 시설투자 15%다.

이동욱 부회장은 "대규모 자금 투자 결정부터 생산까지 최소 3~4년 걸리는 점을 고려해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 적용기한을 (3년에서) 5년 이상으로 확대해야 한다"며 "세액공제율을 올리고, 이월세액공제 기한을 10년에서 20년으로 연장하는 등 중국 정부 육성 정책에 상응하는 지원방안도 고민해주길 바란다"고 했다.

산업IT부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