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8개 기업, 2029년까지 반도체에 43조 투자

韓·대만에 뒤진 日, 재도약 추진
日 정부도 33조 투입

소니와 미쓰비시 등 일본 주요 기업 8곳이 2029년까지 반도체에 5조엔(약 43조원) 규모로 투자할 계획이라고 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닛케이는 소니, 미쓰비시전기, 로옴, 도시바, 키옥시아 홀딩스,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라피다스, 후지전기 등 일본 주요 반도체 제조사 8곳의 2021~2029년도 설비 투자 계획을 살펴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들 기업은 인공지능(AI)과 탈탄소, 전기자동차 시장 확대에 발맞춰 경제 및 국가 안보 핵심 물자인 전력 제어 파워 반도체와 이미지 센서 등 생산을 크게 늘리고 있다.

소니는 반도체 이미지 센서 증산 등에 2021~2026년 5년간 1조6000억엔(약 13조7686억원)을 투자한다. 이미지 센서는 스마트폰 카메라 등 수요가 견조한 데다 자율주행 고도화로 용도가 확산되고 있다. 2023년 나가사키현 공장을 증설했고, 구마모토현에는 신공장을 마련할 방침이다.

AI 데이터센터와 전기차 등 시장 확대를 고려해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파워 반도체 증산 투자도 잇따르고 있다.

도시바와 로옴은 양사가 3800억엔(약 3조2699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미쓰비시 전기는 에너지 절약 성능이 뛰어난 실리콘 카바이드(SiC) 소재 파워 반도체 생산 능력을 2026년에 2022년 대비 5배로 늘릴 계획이다. 구마모토현 내에 1000억엔(약 8605억원)을 투자해 신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AI 반도체 분야에서는 라피더스가 2나노 반도체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홋카이도 치토세시에서 시제품 라인을 2025년 4월 가동한다는 게 목표다. 회사 측은 연구·개발 비용을 포함해 2조엔(약 17조2104억원) 규모 투자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도 반도체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닛케이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일본 정부의 반도체 보조금 규모는 3조9000억엔(약 33조5603억원)에 달한다.

일본 반도체는 1988년 세계 시장 점유율이 약 50%에 달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한국과 대만 기업들이 막대한 금액을 투자하며 한국·대만과의 경쟁에서 패배한 일본 업체들은 2000년대 초반 첨단 반도체 개발에서 줄줄이 철수했다. 2017년 점유율은 10%를 밑도는 수준까지 하락했다.

2020년대 들어 미·중 무역전쟁으로 경제와 안보 측면에서 반도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여기에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시기 공급망이 단절되면서 디지털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반도체 생산 역량을 자국 내에서 확보할 필요성도 커졌다. 일본 정부와 기업이 천문학적 금액을 투자하며 반도체 산업 재도약을 추진하는 이유다.

이 같은 투자 확대에 일본 재무성 법인기업 통계 조사에 따르면 반도체 등 제조에 쓰이는 정보통신기계 설비 투자는 2022년 2조1085억엔(약 18조1141억원)으로 5년 만에 30% 늘었다. 제조업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율은 11%에서 13%로 상승했다. 자동차 등 수송용 기계(15%), 화학(14%)과 맞먹는 규모가 됐다. 닛케이는 "반도체 거액 투자는 중장기적이기 때문에 제조업의 설비 투자를 견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부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