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소정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5일 "우리 군은 어떠한 경우라도 북한이 대한민국을 감히 넘보지 못하도록 확고한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북한의 도발에 압도적으로,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북·러가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체결한 데 대해 "역사의 진보에 역행하는 시대착오적 책동"이라고 비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대구 엑스코에서 개최된 ‘6·25전쟁 제74주년 행사’에서 "평화는 말로 지키는 것이 아니라 강력한 힘과 철통같은 안보태세가 진정한 평화를 이룩하는 길"이라면서 "우리가 더 강해지고 하나로 똘똘 뭉치면 자유와 번영의 통일 대한민국도 결코 먼 미래만은 아닐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올해 행사는 6·25전쟁의 전환점이 된 다부동·영천·포항 전투 등 대구·경북지역 전투를 집중 조명하고, 지방 거주 참전유공자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대구에서 개최됐다. 6·25전쟁 정부 행사가 지역에서 개최된 것은 올해가 처음으로, 대구는 전쟁 초기 33일 동안 임시수도였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전쟁 후 우리에게 남은 것은 절망의 국토뿐이었지만 위대한 우리 국민은 결코 주저앉지 않았다"면서 "피로써 자유 대한민국을 지킨 호국영령들의 뜻을 이어받아, 눈부신 산업화의 기적을 이뤄냈고 모범적인 자유민주주의 국가, 글로벌 중추국가로 도약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쟁 후 67달러에 불과했던 국민소득은 이제 4만달러 시대를 앞두고 있고, 지난해 처음으로 일본을 추월했다는 설명이다.
이어 "우리가 자유와 번영의 길을 달려올 때 북한은 퇴행의 길을 고집하며 지구상의 마지막 동토로 남아 있다"면서 "핵과 미사일 능력 고도화, 오물 풍선 살포와 같은 비열하고 비이성적인 도발까지 서슴지 않고 있다. 지난주에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와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맺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군사·경제적 협력 강화마저 약속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과 위협에 맞서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와 우리 국민의 삶을 든든하게 지키겠다"면서 "70주년을 맞아 더욱 굳건하고 강력해진 한미동맹을 토대로 자유의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 연대해 우리의 자유와 평화를 더욱 단단하게 지켜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아울러 "이런 노력이 영웅들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에 보답하는 길"이라면서 "정부는 6·25전쟁 참전용사들을 최고로 예우하고 보훈 문화가 우리 사회에 더욱 확산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6·25전쟁 당시 수류탄으로 적 전차를 파괴한 고 정정태 하사와 1950년 노량진 전투 당시 아군 진영에 잠입한 간첩을 체포한 고 구남태 상병의 유족에게 무공훈장을 직접 수여했다. 이날 행사에는 6·25전쟁 참전유공자, 정부 주요 인사와 군 주요 직위자, 주한 유엔 참전국 외교사절, 국회의원, 일반시민 등 1300여명이 참석했다.
6·25 전쟁 행사 후 윤 대통령 부부는 대구 경북지역 참전 유공자를 초청해 위로연을 가졌다. 윤 대통령은 인사말에서 "그동안 중앙정부의 6·25 기념행사를 주로 서울에서 열어왔지만, 올해부터는 지역에서 열기로 했다"면서 "특별히 이 자리에는 6·25 전쟁 당시 낙동강 일대 전투 승리로 전세를 역전시킨 대구, 경북 지역의 영웅들을 모셨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이동근 용사, 고석복 용사, 이하영 용사, 김춘원 용사를 호명하며 "지난 70년 전 여러분께서 북한 공산군의 침략에 맞서 용맹하게 싸우신 덕분에 대한민국은 국난을 극복하고 자유를 지킬 수 있었다"면서 "자유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고귀한 청춘을 바치신 모든 영웅께 다시 한번 존경의 말씀을 올린다"고 강조했다.
또 "70여 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북한은 지금 이 순간에도 대한민국을 향해 각종 도발을 일삼으며 우리의 자유와 평화를 위협하고 있다"며 "북한의 위협으로부터 대한민국을 굳건히 지키는 것이야말로 70여 년 전 나라를 지키기 위해 청춘을 바친 영웅들의 희생과 헌신에 보답하는 길"이라고 말했다고 대통령실 김수경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이날 위로연에는 손희원 6·25 참전 유공자 회장과 참전 유공자, 보훈단체장 등이 참석했으며, 정부·지자체에서는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신원식 국방부 장관, 홍준표 대구광역시장 등이 함께했다. 대통령실에서는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인성환 국가안보실 2차장, 이도운 홍보수석, 전광삼 시민사회수석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