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전국민 일상지원금' 신청하려다…유료서비스 가입 '기승'

보건복지부 "전국민 일상지원금은 없어"
유료 서비스 가입까지 이어지기도

'2024 전국민 일상지원금'을 내세운 피싱이 기승이라 주의가 요구된다. 애당초 '전 국민 일상지원금'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보건복지부 공식 입장이다.

사진출처=픽사베이

최근 온라인에는 '전 국민 일상지원금'을 신청하라는 광고나 게시글이 왕왕 보인다. 코로나19를 거치며 국민 대부분이 긴급재난지원금 등을 받아본 경험이 있다는 데다 최근 '전 국민 1인당 25만원 지급'도 정치권 뜨거운 이슈라 혼란이 가중됐다.

대부분 첨부해둔 링크를 통해 지원금을 신청하라며 다른 사이트로 접속하도록 유도해 블로그, 온라인 카페 등의 조회수를 늘리려는 목표다. 혹은 개인정보를 따내기 위한 미끼일 수 있다. 단순 조회수를 유도하는 경우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자칫하다간 개인정보가 털릴 수 있다.

특히 대상자 자격 확인이 필요하다며 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해 매월 일정액이 자동으로 결제되는 서비스 가입을 유도하는 경우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일상지원금 신청하려다가 순식간에 3300원 유료 서비스가 가입됐다', '3000원 짜리 유료 서비스에 가입해버렸다' 등의 피해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피싱 수법은 날이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 최근 쿠팡은 리뷰 체험단을 사칭한 피싱 범죄가 급증하자 서울경찰청과 함께 예방 활동에 나섰다. 리뷰체험단 모집을 가장해 카카오톡이나 텔레그램, 문자 메시지 등으로 특정 사이트에 가입하거나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식이다. 공동 구매 명목으로 돈이나 등록된 개인정보를 가로챈다.

또 금융감독원은 일반인이 알기 어려운 '기관전용 사모펀드 운용사'를 사칭하거나 공모주 열기에 편승해 '상장예정회사'나 '비상장주식거래 플랫폼사'를 사칭하는 피싱사이트를 통해 투자자를 현혹하는 수법이 발전하고 대담해지고 있다며 소비자 주의 경보를 발령하기도 했다. 불법 금융투자업자에 속아 발생한 손해는 회복이 사실상 쉽지 않다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나 스팸 문자에 포함된 인터넷 사이트는 클릭하지 말고, 사칭 사이트로 의심되면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신고하라고 당부했다.

이슈&트렌드팀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