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게임즈, 사내 영어 이름 사용 없앤다…계열사 최초

이중 호칭으로 인해 생긴 혼선 등 해소 기대
“규모에 비해 너무 방대한 조직도 개편할 것”

카카오게임즈가 수평 문화 정착을 위한 사내 영어 이름 사용을 중단하기로 했다. 이는 카카오 계열사 중에서 최초다.

21일 ICT업계에 따르면 한상우 카카오게임즈 신임 대표는 지난 17일 타운홀 미팅에서 “영어 이름 대신 한글 실명에 ‘님’을 붙이는 방식을 이달 중으로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수평 문화 정착을 위해 오랫동안 ‘브라이언’(김범수 창업자), ‘시나’(정신아 카카오 대표), ‘마이클’(한 대표) 등 영어 이름으로 소통해왔다.

그러나 사내에서는 영어 이름으로, 사외에서는 한글 이름으로 소통하는 이중 호칭으로 인해 외부 개발사 등과 소통이 잦은 카카오게임즈 등 일부 계열사와 관계사 직원들 사이에서 혼선이 발생했다.

[이미지 출처=카카오게임즈 제공]

앞서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CA협의체 경영쇄신위원장은 카카오만의 영어 이름 사용 문화를 원점에서 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12월 11일 직원 간담회 ‘브라이언톡’에서 카카오 기업 문화와 관련해 “현재와 미래에 걸맞은 우리만의 문화를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가야 할 것”이라며 “당연하게 생각해 왔던 영어 이름 사용, 정보 공유와 수평 문화 등까지 처음부터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에 카카오게임즈의 결정이 다른 계열사에도 영향을 미칠지 이목이 쏠린다.

한편 한 대표는 카카오게임즈 규모에 비해 팀이 너무 많은 점도 지적, 팀장 직급을 없애 팀원이 실장급과 바로 소통할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직급을 간소화하는 대신 팀원이 승진하지 않아도 성과에 맞게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그로스 스테이지(Growth Stage)’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그로스 스테이지는 팀원의 보상 체계를 8~9개 성장 단계로 나누고, 각자 단계 등락에 따라 보상 규모가 차별화되는 구조다. 단계가 올라가면 일정 정도 연봉 상승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나, 스테이지 기준의 명확성이 요구되는 방식이다.

카카오게임즈는 직원 480여명 중 110여명이 팀장급 이상이어서 조직이 방대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한 대표의 말은 이를 각종 프로젝트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처하는 프로젝트형 조직으로 바꾸겠다는 의도로 분석된다.

이슈&트렌드팀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