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보경기자
한동안 잠잠했던 유료방송사의 ‘블랙아웃(방송 송출중단)’ 위기가 총선 이후 수면 위로 떠오를 전망이다. 유료방송사는 매년 방송채널사업자(PP)들을 평가한 후 프로그램 사용료 협상을 벌이는데, 총선 전 억눌렸던 요구사항이 분출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넷플릭스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급부상과 콘텐츠 제작비 증가로 유료방송사와 PP들 모두 사면초가에 몰린 상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IPTV, 케이블TV,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 사업자들은 최근 PP 평가를 마무리하고 결과를 통보했다. PP 평가는 유료방송사들이 CJ ENM, 티캐스트, SBS미디어넷 등과 같은 PP와 채널 이용 대가인 프로그램 사용료 협상을 벌이기 위한 사전 절차다. 미디어 업계 관계자는 "총선 전까지 블랙아웃 등 방송 차질을 빚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숨죽이고 있던 유료방송사와 PP들이 총선이 끝나면 제 목소리를 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유료방송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정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시청률 ▲시청점유율 ▲콘텐츠 투자비 ▲운영 능력 등의 기준에 따라 개별 PP들을 평가한 후 점수와 등급을 매긴다. 이를 기준으로 유료방송사가 PP들에 프로그램 사용료로 얼마를 지불해야 할지 협상을 벌인다. 이 과정에서 입장차가 두드러져 갈등을 피하기 힘든데, 올해는 양측의 입장이 더욱 첨예하게 갈려 프로그램 사용료 협상에 가시밭길이 예상된다. 한 PP 관계자는 "평가 결과를 통보받은 후 서면으로 이의 사항을 전달한 상태"라고 말했다. 평가 결과를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전했다는 것이다.
업계에선 프로그램 사용료 협상이 녹록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체적인 유료방송 시장 자체의 성장률이 정체돼있는 데다 케이블TV와 위성방송 가입자는 감소하는 추세여서 한 치도 물러설 수 없는 분위기가 강하다. 특히 OTT의 급부상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유료방송사업자들은 최대한 비용을 줄이려 하고 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전년 하반기 대비 0.27%(9만9000명) 늘었다. 2022년부터 가입자 증가율은 1% 미만 대다. 전체 유료방송 가입자의 57%가량을 점유하고 있는 IPTV는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다.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은 해마다 가입자가 줄고 있다. 한 케이블TV 관계자는 "시청률 0%대의 이른바 ‘좀비 PP’에 대해서도 해마다 수억 원의 프로그램 사용료를 지급해야 해 고충이 이만저만이 아니다"고 토로했다.
반면 PP들은 콘텐츠 제작비 부담에 시달리고 있다. ‘큰손’ 넷플릭스가 K-콘텐츠에 직접 투자하면서 배우들의 몸값이 치솟고 있는 상황에서 정당한 콘텐츠 대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tvN, 엠넷 등 인기 채널을 보유하고, 매년 8000억원의 콘텐츠 제작비를 쓰는 CJ ENM이 대표적인 사례다. 2021년 CJ ENM과 LG유플러스의 프로그램 사용료 협상이 결렬되면서 U+모바일tv에서 CJ ENM의 채널을 볼 수 없는 사태가 발생했다. 정부는 양측 합의가 불발돼 시청자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 중재에 돌입하지만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기업들의 입장을 좁히는 데는 한계가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유료방송사와 PP들이 서로의 입장을 조율하는 단계"라며 "향후에는 첨예한 이슈들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