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서윤기자
포스코가 올해 9월 끝나는 중국산 스테인리스강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 기간을 연장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2021년부터 중국산 스테인리스강에 최대 24.82%의 반덤핑 관세가 부과됐는데, 3년 시한이 다가오자 연장카드를 꺼내기로 한 것이다. 이번 조치가 중국산 열연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로 이어질지도 관심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30일 "중국산 스테인리스강 반덤핑 관세 부과를 이어가기 위해 일몰 재심 신청서를 제출할 것"이라며 "국내 시장을 교란하는 저가 중국산에 대한 당연한 조치"라고 말했다.
반덤핑 관세 부과를 연장하기 위해서는 종료 6개월 이전에 기획재정부에 재심사를 요청해야 한다. 이에 따라 무역위원회에서 오는 3월 말~4월 초 재심 신청을 받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가 중국산 스테인리스강 반덤핑 관세 연장을 요청하기로 한 것은 저가 물량 공세가 여전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 관계자는 "중국이 촉발한 공급 과잉에 대응해 세계 조강시설을 갖춘 기업들은 무역장벽을 쌓아놓고 있다"며 "세계는 다 막는데 우리만 열어놓으면 ‘중국산 스테인리스 홍수’는 우리에게 다 넘어올 것"이라고 했다.
우리 정부는 2021년 9월부터 중국을 비롯해 인도네시아, 대만 등에서 수입하는 스테인리스강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저가 수입산에 밀려 시장점유율 하락, 이윤감소 등 국내 산업이 피해를 보았다"는 포스코 주장을 받아들인 것이다. 세계 철강 생산의 58%를 차지하는 중국도 우리나라에서 수입하는 스테인리스강에 23.13%의 반덤핑 관세를 매긴다.
포스코의 스테인리스강 반덤핑 관세 연장 방침이 중국산 열연 제품에 적용될지도 관심이다. 회사 관계자는 "수입산 물량 현황과 국내 조강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며 "반덤핑 제소, 세이프 가드 조치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검토 중"이라고 했다.
엔저(엔화 약세)로 가격경쟁력이 높아진 일본산과 중국 저가 철강재가 아무런 제재 장치 없이 국내로 유입되면서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게 포스코 입장이다. 중국산 철강재 수입물량은 2017년 1153만t으로 최대치를 찍은 뒤 쭉 감소하다 지난해 873만t으로 다시 증가했다.
하지만 포스코에서 열연과 스테인리스강을 사다 쓰는 국내 철강사들은 반기지 않는 분위기다. 열연은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스테인리스강은 국내에서 포스코만 생산한다. 국내에서 독과점 시장이 형성된 제품에 반덤핑 관세를 적용하면 독점기업에 대한 의존도는 커지고 물량 부족, 가격 상승을 야기한다는 것이다.
2021년 9월 스테인리스강 반덤핑 시행 3개월 만에 포스코는 스테인리스강 내수 가격을 총 60만원 인상했다. 코일 1개당 무게가 18~20t인 점을 고려해 단순 계산하면 포스코는 이 기간 코일 1개를 팔 때마다 1200만원의 추가 수익을 올렸다. 2021년 포스코 철강부문 스테인리스강 매출은 12조2434억원으로 전년 대비 27.7% 증가했는데, 이 가운데 국내 매출은 3조5722억원으로 같은 기간 50.4% 급증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반덤핑 조치로 국내 시장에선 주변국과 가격 차이가 100만원 가까이 벌어져 국제 가격 연동 흐름이 깨진 지 오래됐다"고 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열연에 대한 반덤핑 관세 적용은 독점기업 이익 증가를 위해 소재 사용 기업들에 피해를 전가하는 것"이라고 했다.
포스코는 반덤핑 관세 부과를 연장하면서 중소기업들과 중장기적인 상생방안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회사 관계자는 "국내 시장 수급을 안정적으로 조성하고, 가격을 시장에서 수용할 수 있는 선에서 운영하겠다고 약속했고 이행 중"이라고 했다. 포스코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스테인리스강 제·기술 관련 제품 상용화를 위한 맞춤형 컨설팅과 인프라와 기술을 지원하고 있다. 중소 유통업체들을 가공센터로 선정해 중소기업과의 협업체계도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