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우기자
반려동물용 유모차 판매량이 처음으로 유아용 유모차를 추월했다. 극심한 저출산 현상으로 인한 소비 패턴의 변화 때문으로 보인다.
2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G마켓의 올해 1∼3분기 반려동물용 유모차 판매량이 사상 처음으로 유아용 유모차를 넘어섰다.
두 제품의 합계 판매량을 100으로 산정할 경우 유아용 유모차는 2021년 67%, 작년 64%에서 올해 43%까지 크게 떨어졌다. 반면 반려동물용 유모차 판매 비중은 2021년 33%, 작년 36%로 소폭 오른 뒤 올해 1∼3분기에는 57%까지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렸다.
G마켓 관계자는 “두 카테고리의 비중이 올해 갑자기 뒤집힌 배경은 좀 더 분석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유아용 판매는 감소하고 반려동물용 판매는 늘어나는 현상은 이전부터 지속해온 추세”라고 말했다.
반려동물 양육 가구는 해가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는 약 552만가구다. 반려인 수로 따지면 1262만명에 달한다. 국내 전체 가구 중 4분의 1이 반려동물을 기르는 셈이다.
반려동물 관련 시장 규모도 2015년 1조9000억원에서 2021년 3조4000억원으로 성장했고, 올해는 4조원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저출산 현상은 점점 극단으로 치닫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2000년 1.48명, 2010년 1.23명, 2020년 0.84명, 작년 0.78명 등으로 가파르게 내려가고 있다.
통계청은 중위 추계 기준으로 합계출산율은 올해 0.72명으로 낮아지고 내년에 0.68명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2일(현지시간) ‘한국은 소멸하는가'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한국은 선진국들이 안고 있는 인구감소 문제에서 두드러진 사례의 연구 대상국”이라며 한국의 저출산 문제를 조명하기도 했다. 이 칼럼은 최근 발표된 한국의 3분기 출산율 통계를 소개하며 “이 같은 인구감소는 14세기 흑사병이 유럽에 몰고 온 인구감소를 능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려동물용과 유아용 유모차의 극적인 판매량 변화는 이런 사회적 현상들이 맞물린 결과로 분석된다.
또한 출산·육아용품의 고급화 추세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G마켓이 1∼3분기 매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출산·육아용품의 1인당 지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6% 증가했다.
유아용 유모차(22%), 분유·이유식(18%), 기저귀(4%) 등 주요 상품군의 지출액이 모두 늘었다. 반면 반려동물용품의 1인당 지출액은 2% 증가에 그쳤다. 반려동물용 유모차를 구매할 때 지출한 돈은 오히려 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 속에서도 출산·육아용품은 되도록 고가의 프리미엄 제품을 찾지만, 반려동물용품은 가격 대비 품질이 좋은 상품을 선호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