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삶 만족도' 오스트리아, EU 1위…경제대국 독일 예상 밖 순위

전체 27개국 중 불가리아 꼴찌로 나타나
수입 적은 폴란드·루마니아 행복도 높아

유럽 시민들의 주관적인 행복도의 추세를 알고자 유로스타트는 유럽 전역에서 실시된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매년 '삶의 질 지표' 간행물을 발간한다. 이 가운데, 지난해 유럽연합(EU) 회원 27개국 중 국민의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국가는 오스트리아인 것으로 나타났다.

14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EU 통계기구 유로스타트가 2022년 기준 '삶의 질 지표'를 조사한 결과 오스트리아는 주관적인 삶에 대한 만족도 지수에서 10점 만점에 7.9점을 기록해 1위에 올랐다.

지난해 유럽연합(EU) 회원 27개국 중 국민의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국가는 오스트리아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출처=로이터·연합뉴스]

폴란드와 핀란드, 루마니아는 나란히 7.7점을 기록해 공동 2위에 이름을 올렸다. EU의 3대 경제 대국으로 불리는 이탈리아와 스페인, 프랑스는 전체 평균치인 7.1점 부근을 기록하며 중간 순위에 머물렀다.

최하위에 이름을 올린 국가는 불가리아로 27개국 중 유일하게 6점 미만인 5.6점을 기록했다.

유로스타트는 "EU 회원국 전체의 삶의 만족도 평균은 7.1점으로 지난해 EU 시민들은 대체로 자신의 삶에 만족했음을 알 수 있다"면서 "단순한 부의 규모보다는 교육의 수준, 가족, 재정적 안정성 등이 응답자들의 삶의 만족도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상대적으로 소득 수준이 낮은 루마니아와 폴란드 국민의 행복도가 최상위권이라는 사실은 경제적 복리와 주관적 행복도 간의 복잡한 관계성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에서 26위를 기록한 독일은 앞선 연례 조사에서 7.1점을 기록했다가 1년 만에 6.5점으로 급감했다.

영국 일간 더 타임스에 따르면 조사기관 라인골드 연구소가 독일 시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최신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20%는 '불안에 압도된 상태'라고 답했고, 9%는 '무심하고 내향적인 상태'라고 밝혔다.

이러한 독일 시민들의 불안은 최근 독일의 경기 침체와 우크라이나 전쟁, 난민 문제 등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고 인디펜던트는 분석했다.

韓, 스스로 매긴 행복도 137개국 중 57위

앞서, 지난 12월 3일 유엔 산하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가 공개한 '2023 세계행복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들이 스스로 매긴 행복도 평가는 10점 만점에 5.951점으로 전 세계 137개국 중 57위에 그쳤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지난 30년간 한국은 눈에 띄는 성장으로 빠르게 부를 축적했지만, 막상 한국인 느끼는 행복감은 세계 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앞서, 지난 12월 3일 유엔 산하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가 공개한 '2023 세계행복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들이 스스로 매긴 행복도 평가는 10점 만점에 5.951점으로 전 세계 137개국 중 57위에 그쳤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과 비교하면 국민이 느끼는 행복도는 최하위 수준이었다. 한국보다 행복도 점수가 낮은 곳은 그리스(5.931점)와 콜롬비아(5.630점), 튀르키예(4.614점) 등 세 나라뿐이다.

행복도 1위는 핀란드(7.804점)로 6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다. 10위권 내에는 4위 이스라엘(7.473점), 10위 뉴질랜드(7.123점)를 제외하고 대부분 유럽국이 이름을 올렸다. 이어 덴마크(7.586점), 아이슬란드(7.530점), 이스라엘(7.473점), 네덜란드(7.403점) 순으로 나타났다.

아시아권으로 보면 싱가포르(6.587점)가 25위로 가장 높았으며, 아랍에미리트(6.571점) 26위, 대만(6.535점)이 27위로 뒤를 이었다. 사우디아라비아(30위), 카자흐스탄(44위), 우즈베키스탄(54위), 말레이시아(55위)도 한국보다 순위가 높았다. 주요 교역국인 중국(64위)보다는 행복도가 높았지만, 일본(47위)이나 미국(15위)보다는 한참 뒤처진다.

137개국 중 행복 지수가 가장 낮은 나라는 아프가니스탄(1.859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월부터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의 행복 순위는 70위(5.661점)지만 우크라이나는 이보다 훨씬 낮은 92위(5.071점)였다.

보고서는 행복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1인당 국내총생산(GDP)과 건강 기대수명, 사회적 지원, 삶의 선택 자유, 공동체 나눔(관용), 부정부패 지수 등 6개 항목을 꼽았다.

이를 토대로 한국의 행복 지수를 살펴보면 1인당 GDP가 미치는 행복 수준은 지난해 1.851점에서 올해 1.853점으로 소폭 상승했지만, 건강 기대수명은 0.841점에서 0.603점으로 크게 내려갔다. '삶을 선택할 자유'는 지난해 0.414점으로 올해 0.446점으로 다소 올라갔지만, 여전히 낮은 점수에 그쳤습니다.

이슈2팀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