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애리기자
5만원권 지폐가 장롱이나 금고에서 시중으로 쏟아져 나오고 있다. 기준금리와 시중금리가 오르면서 고액권을 갖고 있는 것보다 예·적금 형태로 두는 것이 유리한 데다가 대면 경제활동도 늘어난 영향인 것으로 풀이된다.
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화폐 수급 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5만원권 발행액은 약 10조원, 환수액은 7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발행액 대비 환수액의 비율인 환수율은 77.8%다. 2009년 6월 5만원권 발행이 시작된 이후 상반기 기준으로 가장 높은 환수율이다.
한국은행이 화폐를 발행하면 화폐는 시중에서 유통되다가 예금·세금납부 등 형태로 금융기관으로 입금된다. 금융기관은 일부를 시재금으로 보유하고 나머지는 한국은행에 입금하는데, 이때 돌아온 금액이 환수액이다. 환수율은 해당 기간 발행액 대비 환수액의 비율로 화폐 환수율이 높다는 것은 화폐가 시중에서 활발하게 유통되고 있다는 의미다.
5만원권 환수율은 2009년 최초 발행 이후 꾸준히 상승해 2017∼2019년 중 50∼60%대에 이르렀다가,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2021년에는 10∼20%대까지 내려왔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대면 거래가 줄어든 데다 경제 불확실성에 고액권을 미리 확보해두려는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해 방역 규제 완화로 소비심리가 회복되고, 한국은행이 지난 2021년 8월부터 1년 반에 걸쳐 기준금리를 3.00%포인트 올리면서 환수율이 높아졌다.
한은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평균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된 지난 2021년 8월 연 1.03%에서 지난해 11월 연 4.29%까지 올랐다. 이후 지난 4월 3.43%까지 내렸으나, 5월 반등해 6월 기준 3.69%로 집계됐다.
예금은행의 수신 잔액은 2021년 8월 말 2253조7000억원에서 지난해 11월 2480조6000억원까지 불어났고, 지난 5월에는 2427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고액권 환수율 증가세는 통화 긴축을 이어간 다른 국가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미국 100달러권 환수율은 2020년 51.0%까지 하락했다가 2022년 81.3%로 올랐으며, 유로존 200유로권 역시 2020년 환수율이 46.5%로 떨어졌다가 지난해 104.8%까지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