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식량난 악화…7억명은 굶는다

2023 식량 안보·영양 현황 보고서 발표
기아 직면 인구 7억8300만명…코로나19·우크라 전쟁 영향

지난해 지구촌에서 7억명 이상이 굶주림에 시달린 것으로 나타났다.

12일(현지시간) AP 통신은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계획(WFP), 세계보건기구(WHO),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유엔아동기금(UNICEF)가 발표한 '2023 식량 안보·영양 현황(SOFI)' 보고서를 보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아에 직면한 인구는 6억9100만∼7억8300만명으로, 평균 7억35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촌에서 7억명은 굶는 셈이다.

이는 전년도 7억3900만명과 비슷한 수치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되기 전인 2019년 6억1300만명보다는 1억2200만명이 늘어난 규모다.

지난해 식량 공급을 지속해서 공급받지 못한 인구도 24억명에 달했으며, 영양실조 탓에 발육부진 상태에 놓인 5세 미만 어린이도 1억480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2021년과 2022년 사이 전 세계 기아 수치는 정체됐지만 많은 지역에서 식량 위기가 심화하고 있다"며 "특히 서아시아, 카리브해, 아프리카 대륙 인구의 20%가 기아를 겪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그 이유로 코로나19의 여파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꼽았다. 보고서는 “지난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우크라이나의 곡물 생산과 수출이 대거 중단돼 식량 위기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추세가 지속된다면 2030년까지 기아를 종식하겠다는 유엔의 목표는 달성하기 어렵다고도 내다봤다. 유엔은 2030년에도 전 세계 6억명이 여전히 만성 영양실조로 고통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2팀 전진영 기자 jintonic@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