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반도체, 中 스마트폰 소비·美 데이터센터 투자 회복에 달렸다'

한은, '반도체 수요구조의 특징·시사점' 보고서

글로벌 IT부진으로 우리나라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 업황이 악화한 가운데 향후 반도체 경기는 중국의 스마트폰 소비와 미국의 데이터센터 투자 회복 여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우리나라 반도체 수요구조의 특징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반도체의 최종수요 구조를 보면 용도별로는 스마트폰과 서버, 지역별로는 미국과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은 모바일 비중이 44%로 가장 높아 국내 반도체 경기는 글로벌 스마트폰 수요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음으로는 서버의 비중이 20.6%로 영향이 큰 것으로 추정됐다.

지역별로는 미국과 중국의 비중이 높은데 스마트폰의 경우 미국과 중국이 비슷한 수준이며, 서버는 미국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미국 스마트폰 소비는 팬데믹 기간 중 크게 늘어난 데다 고금리의 영향 등으로 앞으로 크게 확대되기 어려울 것으로 봤다. 반면 중국의 경우 지난해 봉쇄조치의 영향으로 스마트폰 소비가 상대적으로 부진했으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이후 시차를 두고 점차 회복되면서 국내 반도체 경기의 부진을 완화시킬 것으로 예상했다.

또 미국의 데이터센터 투자는 팬데믹 기간 중 과잉투자와 일상회복에 따른 대면소비 확대 등으로 단기적으로 위축됐으나 향후 경제의 디지털 전환, 인공지능(AI) 서비스 확대 등으로 고성능 서버를 중심으로 완만히 늘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우리나라 반도체 경기의 변동성이 다른 국가보다 큰 만큼 비메모리 분야의 경쟁력 강화, 수요처 다변화 등을 통해 경기 진폭을 줄여야 한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국내 반도체 경기의 변동성은 메모리 반도체 비중이 높은 데다 비메모리 반도체의 경우에도 모바일 의존도가 다른 국가보다 크기 때문이다.

한은은 "향후 상대적으로 가격 변동성이 작은 비메모리 분야의 경쟁력을 높이고 성숙기에 접어든 모바일, 수요과점의 위험성이 높은 서버 중심에서 벗어나 자동차, 인공지능(AI) 등으로 수요처를 다변화함으로써 반도체 경기 진폭을 줄여야 한다"며 "국내 반도체 수요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심화하고 있어 이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제금융부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