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디플레 우려 커진다…CPI 상승률 마이너스 코앞(종합)

4월 CPI 상승률 0.1% 그쳐
예상치 하회하며 물가하락 우려

지난달 중국의 물가상승률이 0.1%에 그치면서 디플레이션(물가하락) 우려를 키우고 있다. 부진한 국내외 수요가 물가를 빠르게 견인하지 못하면서, 경제 활력이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는 모습이다.

11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4월 중국의 CPI 상승률은 0.1%로, 전월치(0.7%)와 예상치(차이신 기준·0.3%)를 모두 밑돌았다. 2021년 2월(-0.2%) 이후 2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이기도 하다.

식품 가격은 0.4% 상승했으며, 비식품 가격은 0.1% 오르는 것에 그쳤다. 소비재는 0.4% 가격이 하락했으며, 서비스 가격은 1.0% 올랐다. 1~4월 평균 기준 CPI는 지난해보다 1.0% 상승을 기록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식품·담배·주류 가격은 0.8% 올랐고, 식품 가운데 신선과일 가격이 5.3% 뛰어 오름세를 주도했다. 축산물 가격은 2.2%, 그중에서도 돼지고기 가격이 4.0% 뛰었다. 계란값과 곡물은 각각 1.2%, 1.1% 상승했다. 반면 신선 채소는 13.5%, 수산물은 0.9% 가격이 하락했다. 그 외 가격 상승세는 교육·문화·오락 1.9%, 헬스케어 1.0%, 의류 0.9%, 생활용품 및 서비스 0.1% 수준이었다. 교통·통신 비용과 주거비는 각각 3.3%, 0.2% 떨어졌다.

4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낙폭을 키웠다. 전년 대비 3.6% 하락해 전월치(-2.5%), 예상치(차이신 기준·-3.3%)에 미치지 못했다. PPI 등락 폭은 2020년 5월(-3.7%) 이후 2년 11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었다.

이중 생산자재 가격은 4.7% 하락했고, 생활자재 가격은 0.4% 올랐다. 주요 업종 가운데 석유·가스 채굴업은 16.3% 급락해 약세를 주도했고, 흑색금속제련·압연가공업도 13.6% 떨어졌다. 이밖에 전자기기제조업(0.7%), 자동차제조업(1.0%), 스포츠 및 오락용품 제조업(4.5%), 전력열생산 및 공급업(1.6%), 농식품가공업(1.1%) 등은 오름세를 보였다. PPI 하락에 대해 중국 경제 매체인 매일경제는 "국제 상품 가격의 변동, 전반적인 국내외 시장 수요 약세, 전년 동기 대비 기저효과 등의 여파"라고 진단했다.

장위 화촹증권 수석 거시분석가는 경제 매체 차이신에 "최근의 물가 하락은 시장의 디플레이션에 대한 논의와 우려를 불러일으켰다"면서 "올해 4월이 CPI와 PPI의 최저점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국제1팀 베이징=김현정 특파원 alpha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