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소정기자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이 80%를 상회하면 중장기뿐만 아니라 단기 시계에서도 성장세가 둔화하고 경기침체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이 이미 100%를 초과한 상황에서는 가계부채가 거시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효과가 더욱 클 수 있다는 경고다.
한국은행은 28일 '가계신용 누증 리스크 분석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가계부채 누증은 중장기 시계에 걸쳐 성장의 하방요인으로 작용하며,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고 밝혔다.
가계부채 누증이 GDP 성장률과 경기침체 발생에 미치는 장단기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한은이 1960~2020년 중 총 39개 국가의 패널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3년 누적)이 1%포인트 상승하면 4~5년 시차를 두고 GDP 성장률(3년 누적)이 0.25~0.28%포인트 하락했다.
또 가계신용 누증은 중기 시계에서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됐는데, 가계신용(3년 누적)이 증가하면 3~5년 시차를 두고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을 높였다.
특히 GDP 대비 가계신용 규모(가계신용 비율)가 80%를 상회할 경우 경기침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신용 비율이 80%를 초과해 계속 상승할수록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는데, 이 경우 중장기뿐만 아니라 단기 시계에서도 성장률 하락과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이 커졌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지난해 4분기 기준 105.1%에 달한다.
권도근 한은 통화신용연구팀 차장은 "우리나라와 같이 가계신용 비율이 이미 100%를 초과한 상황에서는 가계부채가 거시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효과가 더 클 수 있다"면서 "가계신용 비율이 80%에 근접할 수 있도록 가계부채를 줄여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차장은 "다만 가계부채의 급속한 디레버리징은 금융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디레버리징은 완만한 속도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