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發 복합위기에…정부, 모든 공공기관 에너지 사용량 10% 감축

추경호 부총리, 비상경제장관회의 개최
"에너지發 복합 경제위기 상당 기간 지속…전국민 에너지 절약 캠페인"

[아시아경제 세종=권해영 기자] 글로벌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촉발된 경제 복합위기 우려가 커지면서 정부가 다음달부터 공공 부문의 에너지 사용량을 10% 절감하기로 했다. 국민을 상대로 에너지 절약 캠페인도 실시한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10월부터 모든 중앙·지방공공기관은 에너지 10% 절감 이행계획을 강도 높게 시행할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최근 전 세계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에 따른 글로벌 에너지 대란의 여파가 물가·무역수지 등으로 확산되면서 복합 경제위기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우리 경제도 에너지 다소비 산업구조, 낮은 에너지 효율성으로 에너지 가격 급등 영향이 더 크게 반영되면서 고물가 및 무역수지 적자가 지속되는 등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올 8월까지 우리나라의 누적 무역수지 적자는 247억3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원유·가스·석탄 수입금액이 1251억6000만달러에 달하는 등 에너지 수입액 급증이 무역적자를 심화시켰다.

이에 따라 정부는 우선 공공부문부터 에너지 절감을 실시한다. 난방온도 제한, 경관조명 소등 등 '겨울철 에너지 절감 5대 실천강령'을 시행하고, 이행실적에 대한 올해 공공기관 경영평가를 강화한다.

산업 부문 에너지의 63%를 소비하는 30대 기업과 자발적 효율혁신 협약도 체결한다.

이를 토대로 에너지 절약의 필요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전국민 참여 캠페인도 추진한다.

아울러 산업·경제구조를 에너지 저소비·고효율 체계로 전환하기 위해 에너지 효율기술에 대한 세제 인센티브도 강화한다. ▲에너지 절약시설 투자자산에 대한 가속상각 적용 ▲에너지 효율향상 핵심기술의 신성장·원천기술 및 신성장 사업화시설 추가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추 부총리는 "동절기 에너지수요 확대, 러시아 추가 공급 축소 가능성 등을 감안하면 현재의 에너지발(發) 복합 경제위기 상황이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며 "이제 우리도 전국민적인 에너지 절약 노력과 함께 에너지 다소비 구조에서 에너지 효율적 경제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체질개선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세종=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