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없는 중국에 '우영우 열풍'이 분다고?

누리꾼 대다수 무단 복제물로 콘텐츠 시청
K-콘텐츠 불법 유통 피해액 5500억원 육박

드라마, 웹툰 등 한국산 콘텐츠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지만, 무단, 복제 불법 시청 등으로 인한 피해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진=송현도 아시아경제 인턴기자

[아시아경제 임주형 기자, 송현도 인턴기자] 인기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우영우)가 중국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 우영우의 방영 플랫폼은 '넷플릭스'인데, 중국에서는 공식 서비스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중국 내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선 우영우 관련 게시글과 리뷰가 쏟아지고 있다.

중국 내 우영우 인기는 온라인 커뮤니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 올라온 게시글 수로 가늠해볼 수 있다. 중국 최대 콘텐츠 리뷰 사이트 '더우반'에서 우영우는 평점 9.3점을 기록 중이며, 리뷰는 2만1000개를 넘어섰다. 웨이보 등 중국 SNS에서는 "지금까지 본 한국 드라마 중 최고", "배우들 연기가 뛰어나다" 등 우영우에 대한 호평글이 끊임없이 올라오고 있다.

콘텐츠 전문 매체들도 '우영우 현상'을 조명했다. 중국 매체인 '시나'는 한 중국 누리꾼이 개설한 우영우 팬 페이지에 3만명이 넘는 팔로워가 몰렸다며 "우영우의 인기가 심상치 않다"고 보도했다.

중국에선 공식적으로 드라마 '우영우'를 시청할 수 없지만, 리뷰 사이트 등에는 이미 누리꾼의 평점이 수만개 이상 등록됐다. / 사진=중국 리뷰 사이트 '더우반' 캡처

우영우는 지난달 29일부터 방영 중이며 미국 스트리밍 플랫폼 넷플릭스를 통해 해외 국가에서도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에선 넷플릭스 서비스가 공식 제공되지 않는다. 중국 누리꾼의 영상 콘텐츠 불법 시청을 두고 '도둑 시청'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지난 21일 페이스북에 "도둑 시청도 어이없는데 중국의 최대 리뷰 사이트에서 (중국인이) 자신들끼리 평점을 매긴다"라며 "그야말로 자기들끼리 몰래 훔쳐보면서 할 건 다 하는 상황"이라고 썼다.

중국 누리꾼들은 P2P 다운로드,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 클라우드 등을 이용해 수입이 금지된 콘텐츠를 접하는 것으로 보인다. 불법 복제한 콘텐츠 파일을 P2P 사이트나 공용 클라우드에 게재해 다른 누리꾼과 공유하거나, 해외에 주소를 둔 스트리밍 사이트를 개설해 수사망을 피하는 방식이다. 25일 중국 최대 포털 사이트 '바이두'에 우영우를 입력하자 90만건이 넘는 결과가 검색됐다. 이 중에는 한국 드라마를 무료로 볼 수 있는 스트리밍 사이트, 토렌트 등 P2P 파일도 다수 포함돼 있었다.

K-콘텐츠 위상 높아졌지만…불법 복제 피해 훨씬 빨리 늘어

'한한령' 이후 중국에는 한국산 영상, 음반 콘텐츠 수입이 제한돼 있지만 중국 누리꾼들은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 P2P 다운로드 등을 통해 쉽게 접할 수 있다. / 사진=중국 포털 '바이두' 캡처

중국에 만연한 '한국 콘텐츠 불법 시청' 문제는 통계로도 확인된다. 한국저작권보호원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집계한 '국가별 콘텐츠 불법 유통 적발 건수'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전체 건수 중 32.5%를 차지해 1위에 올랐다.

이는 비단 중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네이버' 등 국내 IT 기업이 제공하는 웹툰 서비스의 경우 무단 복제는 아시아 국가뿐 아니라 영어권 국가에서도 성행하고 있다. 콘텐츠 전문업체 '코니스트'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 웹툰 불법 복제 사이트의 트래픽은 총합 336억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해 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콘텐츠 불법 유통으로 인한 연간 누적 피해액은 5488억원으로, 전년 대비 70% 상승했다. 같은 기간 콘텐츠 수출액 성장률(13.9%)을 크게 상회한 것이다.

지난 2020년 기준 웹툰 등 콘텐츠 불법 복제 사이트 누적 조회수는 총합 336억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지난 2018년 페쇄된 한 웹툰 불법 유통 사이트. / 사진=연합뉴스

전문가는 정부와 민간 모두 국내 콘텐츠 사업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힘써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원상 조선대 법학과 교수는 "정부 차원에서 중국의 콘텐츠 불법 복제에 대응해 쓸 수 있는 카드가 많지는 않지만, 중국이 국가적 평판을 고려할 수 있도록 공식 외교 채널을 통해 이의를 제기하는 제스처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송현도 인턴기자 dosong@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편집국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편집국 송현도 인턴기자 doso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