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규기자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가 주소가 없는 지하상가나 야외 장소에도 주소를 부여한다. 이럴 경우 수요 폭증이 예상되는 드론 배송, 로봇 산업 등 새로운 서비스와의 연계성이 강화돼 도민들의 생활 편의도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경기도는 현재 118만5000여개인 주소정보를 2026년까지 건물 내부ㆍ숲길ㆍ사물까지 포함해 두 배 이상으로 확충하는 내용의 '제1차 경기도 주소정보 활용 집행계획(2022년~2026년)'을 수립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도로명주소법 전면 개정' 이후 행정안전부가 마련한 '제1차 주소정보 활용 기본계획'에 따른 후속 조치다. 건물ㆍ도로 중심의 기존 주소체계를 보완해 데이터ㆍ네트워크ㆍ인공지능과 결합한 미래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방점을 두고 추진된다.
개정된 도로명주소법은 도로ㆍ건물 중심으로 부여됐던 건물 주소를 고가ㆍ지하 입체도로, 건물 내부도로, 숲길, 농로 등 도로명이 없는 곳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는 이에 따라 촘촘하게 연결된 주소정보 확충, 주소 지능정보 데이터ㆍ네트워크ㆍ인공지능 생태계 조성 등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했다.
먼저 지상도로 중심이던 도로는 입체도로, 내부도로, 건물 실내 이동경로 등으로 나눠 주소정보를 부여하기로 했다.
지하철역 화장실, 물품보관함, 소화전 등에는 사물주소를 부여해 응급환자 발생 시 위치 파악을 통해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농가 비닐하우스 등에도 배달할 수 있도록 주소정보를 부여하고, 주차장ㆍ장애인 출입구에 관한 정보를 구축해 주소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로 했다.
기존 건물주소 체계에서도 상세주소(도로명주소 뒤에 표시하는 동ㆍ호수)를 확대한다.
이렇게 되면 보행로 내비게이션을 사용할 때 아파트나 상가 출입구를 넘어 계단, 승강기, 복도, 방문 앞까지 안내할 수 있어 자율주행로봇이 무인택배함에서 문 앞까지 택배를 배달해주는 새로운 서비스 도입도 가능해질 것으로 도는 보고 있다.
도 관계자는 "주소 정보를 확충할수록 드론 배송, 로봇산업, 실내 내비게이션 등 새로운 서비스와 연계성이 강화돼 도민의 생활 편의도 향상할 것"이라며 "디지털시대에 맞는 주소정보를 구축해 이를 활용한 메타버스,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자동차 등 산업 생태계 활성화도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