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부담에 회사채 대신' 올해 5대은행 기업대출 25兆 급증

금리상승에 회사채 조달 줄어
투자금 늘리려는 중기대출 증가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유제훈 기자] 올해 들어 5대 은행 기업대출이 약 25조원 급증했다. 금리 상승으로 회사채 발행에 부담을 느낀 대기업들이 은행문을 세게 두드렸다. 코로나 이후 투자자금을 늘리려는 중소기업 대출 수요도 많았다. 가계대출 감소세를 우려하는 은행들이 기업대출 증가세로 숨통을 트는 분위기다.

3일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4월말 기업대출(대기업·중소기업) 잔액은 660조585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과 비교하면 24조6681억원이 증가했다. 가계대출은 총량규제와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 정부 정책 탓에 제약이 많지만, 기업여신은 규제 무풍지대다. 은행들이 보폭을 넓힐 여지가 충분하다. 올해 초 5대 시중은행장 신년사에 기업여신 확대가 모두 들어갈 정도로 중요하게 다루는 키워드다.

특히 대기업 대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같은 기간 5조2220억원(82조4092억원→87조6312억원) 늘어났다. A은행 관계자는 "금리가 오르면서 회사채 발행에 부담을 느낀 대기업들이 은행 대출로 선회한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3월 일반 회사채 발행 규모는 1조8370억원으로 전월 대비 65.8% 줄었다. 대기업들이 자금 조달 수단으로 주로 사용하는 회사채 발행 대신 은행대출을 선택한 것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채권 금리도 급등하고 있기 때문이다. 회사채 무보증 3년물(신용등급 AA- 기준)의 금리는 3.829%(2일 기준)였다. 연초(2.460%) 대비 약 1.2%포인트, 전년 같은 기간(1.524%) 대비 2배 이상 치솟았다. 대기업 관계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기조, 우크라이나 전쟁, 상하이 봉쇄 같은 대외 여건을 감안하면 앞으로 당분간 회사채 발행은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했다.

중소기업 대출은 공장을 증축하거나 투자를 하는 우량기업 중심으로 은행간 대출 경쟁이 치열하다. 처음에 시설자금으로 거래를 터야 나중에 운영자금 대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4월 기준 5대 은행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572조9246억원으로, 올해만 119조4401억원 증가했다. B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이 기업대출 금리를 낮춰가며 점유율을 늘리는 싸움을 하는 중"이라고 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기업대출금리(3월 신규취급액 기준)는 3.39%로, 가계대출(3.98%)보다 0.59%포인트가 낮다.

중소기업 대출 중에서도 개인사업자대출 증가액은 8조3232억원이었다. 전체 기업대출 증가액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수준이다. 소상공인 대출이 대부분인데, 이들은 투자보다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정책자금이 대부분이라는 게 은행 설명이다. C은행 관계자는 "인수위에서 자영업자 대출이 대거 부실채권으로 처리될 사태에 대비해 ‘배드뱅크’(금융기관에서 싼값에 넘겨받아 이를 회수하거나 팔아버리는 금융회사)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며 "개인사업자 대출 증가는 앞으로 은행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금융부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