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래 특허청장, 세계지식재산기구 초청 ‘정책대화’ 참여

김용래 특허청장이 5일 세계지식재산기구의 특별초청으로 ‘첨단기술과 지식재산 정책대화’에 참여하고 있다. 특허청 제공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특허청은 김용래 특허청장이 세계지식재산기구의 특별초청으로 ‘첨단기술과 지식재산 정책대화’에 참여했다고 6일 밝혔다.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과 지식재산 행정’을 주제로 진행된 이 자리는 한국·싱가포르·호주·슬로바키아·칠레·모로코 등 6개국 특허청장이 모여 토론하는 시간으로 진행됐다.

김 청장은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 이슈에 선제·미래지향적으로 대처하며 디지털시대 새로운 국제규범 형성을 주도하는 데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정책대회에 특별초청 받았다.

정책대화는 ▲디지털화 및 첨단기술이 지식재산에 미치는 영향 ▲지식재산관청의 첨단기술 수용 및 변화 ▲뛰어난 아이디어를 보유한 청년들을 위한 지식재산관청의 지원방안 등 3가지 질문에 6개국 특허청장이 각자의 의견을 밝히며 공유하는 형태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김 청장은 디지털사회로 급변하는 현 시점에 기존 지식재산제도로 보호하기 어려운 분야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점을 언급하며 특허행정의 혁신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한국 특허청의 인공지능 활용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해 토론에 참여한 타국 특허청장과 세계 각국의 지식재산 전문가로부터 공감과 지지를 받았다.

앞서 특허청은 경제 및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지식재산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미래 비전 ‘디지털 지식재산 혁신전략’을 수립해 지난해 초 발표한 바 있다.

또 선진 5개국 특허청 협의체(IP5) 안에서 신기술, 인공지능(NET/AI) TF를 발족시켜 지난 2년간 주도적으로 운영하면서 인공지능 발명에 대한 특허심사제도의 통일성을 높이고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신기술·인공지능(NET/AI) 협력 로드맵’을 마련했다.

김용래 특허청장은 “한국 특허청이 제시한 특허행정 혁신방안에 대한 세계지식재산기구 회원국과 지식재산권 전문가가 공감하면서 그간 첨단기술, 디지털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온 한국 특허청의 노력에 보람을 느낄 수 있었다”며 “특허청은 앞으로 대체불가토큰(NFT) 등 신기술이 지식재산권을 통해 보호받을 수 있도록 국제적 논의를 주도하고 특허행정의 혁신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