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올해 1분기에도 NIM 상승세 지속

전분기보다 순이자마진 4bp 올라…상승세 지속
대출금리 크게 오른 영향
올 상승폭 작년보다 클듯

[아시아경제 송화정 기자] 은행들의 순이자마진(NIM) 상승세가 올해 1분기에도 지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NIM 상승폭이 지난해보다 클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6일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1분기 은행 NIM은 전분기 대비 4bp(1bp=0.01%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4분기 5bp 상승한 데 이어 추가로 개선되는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가파른 추세를 이어가며 대출 기준금리가 전분기 대비 20~30bp 오른 영향이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시장금리가 오르면 NIM도 오르는데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4.1% 상승하는 등 시장금리 상승압력으로 작용 중"이라며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는 양도성예금증서(CD) 및 은행채 3개월, 5년 평균 금리는 이번 분기에 전분기 대비 각각 29bp, 24bp, 36bp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2월 예금은행의 잔액기준 예대금리차(NIS)는 2.27%로 지난해 12월 대비로는 6bp, 지난해 4분기 월평균 대비로는 8bp 상승했다.

순이자마진은 이자자산 순이익(운용수익-조달비용)을 이자수익 자산의 평균잔액으로 나눈 수치로 예대금리차(평균 대출이자율-저축이자율)보다 은행의 이자부문 수익성을 더 정확히 나타내주는 지표로 평가받고 있다.

은행별로 보면 KB국민은행의 NIM은 전분기 대비 3bp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KB국민은행의 경우 NIM 1bp 당 연간 이자이익 민감도가 414억원으로 업권 내에서 가장 크다. 1분기 원화 대출금은 전분기 대비 0.7%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가계대출이 전세자금대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신용대출 위주로 감소하면서 부진했으나 기업대출은 대기업, 중소법인, 개인사업자 모두 양호한 성장세를 보였다.

신한은행은 4bp 개선된 것으로 추정되며 원화대출금도 1.1%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은행 5bp 상승하며 4대 은행 중 가장 큰 폭으로 개선된 것으로 예상된다. 원화대출금은 중소기업과 대기업 위주의 대출이 크게 늘면서 1.3%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나은행은 1분기 NIM이 1bp이 상승하는 데 그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전분기 일회성 연체이자 회수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으로 1bp 상승에 그쳤지만 이를 제외할 경우 경상적인 NIM 상승폭은 3bp 수준인 것으로 분석된다. 원화대출금은 1.2% 증가한 것으로 예상된다.

NIM 상승폭은 작년보다 올해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백 연구원은 "지난해 하반기는 대출 기준금리 및 가산금리가 모두 NIM 상승압력으로 작용했지만 올해는 대출 기준금리가 NIM 상승세를 이끌 것"이라며 "대출 기준금리 상승폭이 올해 상반기 더욱 확대되면서 연중 NIM은 올해 10bp 이상 개선돼 작년 6bp를 웃돌 것"이라고 내다봤다.

송화정 기자 pancake@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송화정 기자 pancak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