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폐지론에 첫 입장 밝힌 정영애 '성평등 부처에서 돌봄 다뤄야'

페이스북 통해 여가부 관련 오해에 해명
"권력형 성범죄 여러차례 사과, 비판 겸허히 받아들여"
"성별로 가해자·피해자 구분하는 방식에 동의 안해"

정영애 여성가족부 장관이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영상으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최근 제20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전문·실무위원 명단에 여가부 공무원이 배제된 것으로 알려졌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정영애 여성가족부 장관이 새 정부 인수위원회의 여가부 폐지론에 대한 입장을 제시하며 "가능하다면 다음 정부에서도 성평등을 담당하는 부처가 돌봄을 함께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1일 여성가족부 장관 페이스북을 통해 "보육을 포함하는 돌봄의 업무는 여성의 몫이어서가 아니라 성평등 관점에서 접근해야 우리나라의 심각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한 일간지에 게재돤 글을 언급하며 "올바른 지적은 달게 받아야 하나, 여가부의 그동안의 노력이 오해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이 필요하다"며 권력형 성폭력 사건과 우리나라의 낮은 여성 고위직 비율, 성평등 교육 영상 논란 등에 대한 입장을 내놨다.

정 장관은 "권력형 성폭력 사건 대응과 관련해 여러 차례 사과를 했음에도 국민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 부분이 있었다고 생각하며, 이에 대한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인다"며 "서울시 사건 피해자 변호인이 밝혔듯, 여성가족부에서는 피해자를 위해 상담·법률·의료 지원 등 해야 할 일을 해왔고,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법·제도 개선을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고 설명했다.

여성 고위직 비율이 40~50%에 이르는 성평등 국가들과 비교해 우리나라의 여성 고위직 비율이 여전히 낮다고도 했다. 정 장관은 "우리나라의 경제적, 외교적 위상에 비해 형편없이 낮은 고위직, 정무직 비율을 안다면, 왜 여가부 장관이 여성인지 보다 그동안 모든 장관이 남성이었던 수많은 부처에 대한 의문 제기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역대 여가부 장관의 자리가 이너서클 여자들이 나눠먹거나 전문성 없이 아무나 앉혀도 되는 자리라는 지적에는 동의하기 어렵다"며 "예전에 정부 고위직 인사업무를 담당했던 경험을 통해 본다면 고위직 인사의 고려요소는 단지 후보자의 학문적이거나 경력 상의 전문성 뿐 아니라, 추진력, 정무적 능력, 도덕성 외에도 장·차관의 관계, 동일 시기에 이루어지는 인사 간의 종합적 균형 등 매우 다양한 점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양성평등교육진흥원의 영상과 관련한 논란에 대해 "이미 여러 차례 밝힌 것처럼 성별로 가해자와 피해자를 구분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며 "여성가족부에서는 디지털 성폭력 피해자,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등 여성가족부가 추진하는 모든 업무 속에서 결코 남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여성과 남성은 아버지이고, 딸이며, 직장 동료이며, 기후변화와 코로나 위기 상황에서 함께 대응하고 헤쳐 나가야 할 공동체의 성원들"이라고 설명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 업무에 대해서도 "이제 등록된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는 열두 분으로 줄었다. 피해자 할머니들의 의료·주거·일상생활 지원 수요를 파악하여 맞춤형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여가부 직원이 주기적으로 할머니들께 연락을 드리며, 생활에 어려움 없이 안정적으로 지낼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앞으로도 할머니들의 명예 회복을 위한 국제적 노력을 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장관은 "아직도 여성가족부가 여러 면에서 많이 부족하지만, 부족한 점을 보완하며 성평등사회, 소외되는 사람들이 배려될 수 있는 사회를 위한 여성가족부의 소명을 다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