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로봇 배로 실시간 추적·감시한다

원자력연구원-해양과학기술원 공동 개발

원자력연구원-해양과학기술원 연구진들이 해양 방사선 무인자동 감시시스템 성능검증을 수행하고 있다. 사진제공=원자력연구원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에 따라 우리나라 해역에서도 방사선 오염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책 연구원들이 이를 자동으로 실시간 추적·감시할 수 있는 무인 자동 감시시스템을 개발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협업을 통해 해양 방사선 무인 자동 감시시스템을 공동 개발해 최근 성능 검증을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해상 이동형 방사선 센서를 해양과학기술원이 개발한 무인 자동 로봇에 탑재했다. 배 모양 로봇이 넓은 해상을 스스로 탐색하며 방사능 오염원을 탐지한다. 부표 등을 이용한 기존 고정식 해양 감시 장비와 달리 이번에 개발한 장비는 넓은 해역을 이동하며 능동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연구팀이 최종 목표로 하는 감시 시스템을 실제 구축할 경우, 우리 바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유사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가 실제 방류될 경우 우리나라 바다로 흘러 들어 올게 뻔해 어민 등 수산업계와 국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바다에서는 끊김 없는 통신과 전력 공급이 어려워 크고 무거운 방사선 측정 장비로는 실시간 감시에 한계가 있ㅇ었다.

원자력연구원-해양과학기술원 연구진이 해양 방사선 무인자동 감시시스템을 공동 개발했다

해상 이동형 방사선 센서는 기존의 방사선 센서보다 무게는 1/4, 부피는 1/3로 줄였다. 약 560 g의 무게에 손바닥보다도 작아 이동성이 뛰어나다. 지금까지는 해상에서의 통신과 전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방사선 센서를 주로 연안에 설치해왔다. 하지만 이번에 개발한 센서는 저전력 신호처리 및 무선통신기법을 적용해 자체 배터리만으로도 24시간 이상 운용이 가능해 상시 전력 공급 및 통신에 문제가 생겨도 활동에 제약이 없다.

배 모양의 무인로봇은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조종하거나 사전 입력한 좌표를 따라 스스로 이동할 수 있다. 최대 4시간, 최대 시속 16 km/h로 이동하며 8 km 떨어진 거리까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차후 배터리 용량을 늘리고, 위성통신으로 먼바다에서도 제약 없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장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지난 9월에 진행한 성능 검증 실험에서 스스로 이동해 3 m 떨어진 방사능 오염원을 탐지하는 데 성공했다.

장미 원자력연구원 박사는 “우리 바다의 평상시 환경방사선 데이터를 확보하고 비상 사고 시 해양방사선 광역 감시망 구축에 활용 가능해 방사선 오염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4차산업부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