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플랫폼 육성해야' 애플·구글 '30%앱통행세' 논란에 '토종' 원스토어 뜬다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애플에 이어 구글도 애플리케이션 거래 수수료를 30%로 높이기로 하면서 외산 플랫폼에 맞선 '토종 플랫폼' 육성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앱 마켓 공룡의 갑(甲)질을 견디다 못한 국내 개발사들은 이동통신 3사와 네이버가 의기투합한 '원스토어'의 문을 두드리기 시작했다. 디지털 콘텐츠 수익의 해외 유출, 디지털 식민지화를 막기 위해서라도 국내 앱 마켓에 대한 정책적 육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수수료 싼 원스토어 찾는 개발사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앱 통행세'로 불리는 구글과 애플의 수수료 30% 정책이 논란에 휩싸이면서 토종 플랫폼인 원스토어를 대안으로 고려하는 기업들의 문의가 대폭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8월 말 기준 원스토어의 시장점유율은 18.4%로 집계 이후 최고 기록까지 치솟았다. 같은 기간 구글 플레이는 71.0%, 애플 앱스토어는 10.6%였다.

연초만 해도 10%대 초반이던 원스토어의 점유율은 국내에서 앱 수수료 논란이 확산된 올해 하반기 들어 본격적으로 급등했다. 그간 구글ㆍ애플의 보복이 두려워 차마 반기를 들지 못하던 개발사들이 구글의 수수료율 인상을 계기로 눈을 돌리기 시작하면서다. 구글은 그간 게임 앱에 한해 적용하던 수수료 30%를 애플과 마찬가지로 모든 앱에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2016년 출범한 원스토어의 앱 수수료는 20%로 애플ㆍ구글보다 훨씬 낮다. 업계 관행이나 마찬가지인 인앱결제(앱 내 결제)도 강요하지 않는다. 도리어 개발사가 자체 결제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수수료를 5%로 인하하는 파격적인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최근 애플이 자체 결제 시스템을 구축한 게임업체 에픽게임즈를 앱스토어에서 퇴출시키며 법정 공방에 휩싸인 사실과 비교하면 매우 대조적인 행보다. 한 개발사 관계자는 "(구글과 애플이) 독과점시장에서 인앱결제만을 강제하고 30%라는 수수료를 부과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토로했다.

원스토어 관계자는 "2018년 7월부터 업계에서 불문율로 취급되던 30%의 앱 마켓 수수료를 인하했다"며 "개발사와의 상생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지난 2년간 원스토어 입점 개발사들이 절감한 수수료 총액은 600억원에 달한다. 이후 개발사들의 호응이 이어지며 원스토어 또한 8분기 연속 거래액 성장을 기록 중이다. 개발사와 앱 마켓 플랫폼의 상생이 '윈윈' 효과를 낳고 생태계 선순환까지 구축한 셈이다.

원스토어 로고

◆디지털 식민지화될까…커지는 우려

앱 통행세 논란은 시장 지배적 위치의 플랫폼기업이 단순히 정책을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산업 생태계를 뒤흔들 수 있음을 확인시키며 업계의 위기감을 높이고 있다. 국내 콘텐츠기업 10곳 중 6곳 이상은 영업이익 영세 기업으로 분류되고 있어 앱 마켓 공룡의 수수료 정책에 직격탄을 입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디지털 식민지화 논란도 잇따른다. 현재 외산 플랫폼의 국내 매출은 약 1조8000억원 규모에 달한다. 국내 게임시장의 30% 수준이다. 앱 통행세에 따른 국내 산업 수익의 해외 유출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높다. 토종 플랫폼 육성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향후 국내 콘텐츠산업의 종속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도 한층 커졌다.

국회와 관계 부처에서는 구글과 애플의 불공정행위에 주목하고 있다. 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구글은 개발사가) 구글 플레이와 국내 앱마켓에 동시 입점할 경우 구글 첫 페이지 추천(피처드) 노출을 제한해 중소형 게임회사에 암묵적인 제재를 가하고 있다"며 "인앱결제 30% 수수료를 강제적으로 부과한다"고 꼬집었다.

방송통신위원회를 비롯한 관계 부처는 현재 앱 마켓 수수료와 관련, 법 위반 여부를 살피고 있다. 김정환 부경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콘텐츠사업자에게 부과된 수수료가 이용자에게 그대로 전가될 가능성이 100%"라고 소비자 피해를 우려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4차산업부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