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타항공 D-DAY, 장고 빠진 제주항공

"오늘 자정지나도 자동 계약해지는 아냐"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에게 보낸 최후통첩 기한이 도래하면서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제주항공이 인수 가부를 결정하지 못한 채 장고(長考)를 이어가는 가운데, 당국이 거래 성사를 위해 추가 지원 카드를 꺼내들 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15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 측에 제시한 선결조건 이행 데드라인은 이날 자정이다. 제주항공은 앞서 지난 1일 이스타항공에 미지급금 해소 등을 요구하면서 "10영업일 이내 인수 선결조건을 이행하지 않으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현 시점 까지도 뚜렷한 진전은 없는 상태다. 다만 제주항공이 당장 내일(16일) 인수 가부를 결정하진 않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제주항공의 최후통첩이 시효가 경과하면 자동으로 거래가 무산되는 강행조항은 아닌 까닭이다. 제주항공 한 관계자는 "이날 자정이 지나도 자동으로 계약이 해지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 역시 "서로 논의할 사안이 남아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스타항공은 그간 1700억원 규모의 미지급금 감액에 사활을 걸어왔다. 일부 성과도 있었다. 이스타항공 조종사노동조합이 고용유지를 전제로 체불임금을 반납할 수 있단 입장을 밝히면서 약 65억원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리스사와의 협의 과정에서도 일부 긍정적인 반응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이스타항공이 미지급금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미지급금의 다수를 차지하는 리스ㆍ정유ㆍ조업 대금문제가 쉽사리 해소되지 않고 있어서다. 대금 문제로 엮인 이들 기업 역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시달리고 있어 여력이 없는 까닭이다.

이로써 공은 제주항공으로 돌아가는 분위기다. 제주항공과 모회사인 애경그룹도 내부적으로 인수ㆍ합병(M&A) 가부 문제를 숙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항공으로서도 거래 성사와 무산 모두 적잖은 부담이 있다. 거래를 무산시킬 경우 책임론에 휩싸일 가능성이 크다. 이번 거래를 중재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등 규제당국과의 관계 문제 역시 고려할 수 밖에 없다반대로 거래를 성사시킬 경우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영상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제주항공은 지난 1분기 600억원대의 적자를 냈고, 2분기에도 수백억대 적자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선 제주항공이 당국의 추가지원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 아니냔 해석이 나온다. KDB산업은행 등이 인수금융으로 1700억원을 지원키로 했지만 이 금액만으론 미지급금 해소, 경영정상화 모두 달성하기 벅차기 때문이다.

김현미 장관 역시 지난 3일 채형석 애경그룹 부회장과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만나 거래 성사를 전제로 지원책을 강구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거래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정부도 1700억원+α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는 만큼 제주항공으로서도 최소한 저리 대출 등 실익을 얻으려 하지 않겠느냐"고 전했다.

하지만 여전히 정책당국의 추가지원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결국 제주항공이 포기수순을 밟을 것이란 관측도 많다. 업계 한 관계자는 "다른 저비용항공사(LCC)와의 형평성 문제는 물론 창업주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관련한 논란으로 특혜시비 등이 불거질 소지가 적지 않다"면서 "제주항공으로서도 여러 곤란한 사정을 감안해 시기를 저울질 하고 있는 것이 아니겠느냐"고 전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