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첫 주 정제마진 '-3.3달러'로 악화…공장 가동할수록 손실 커져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황윤주 기자] 정유사의 수익성을 가늠할 수 있는 정제마진이 8주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특히 이달 첫 주 정제마진은 '-3달러' 밑으로 고꾸라졌다.

11일 한국석유공사와 정유업계에 따르면 5월 첫 주 평균싱가포르 복합정제마진은 배럴 당 -3.3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3월 셋째주 이후 8주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정제마진을 올 들어 지난 3월 셋째주 -1.9달러를 기록한 이후 -1.1(3월 넷째주), -1.4달러(4월 첫째주), -0.7달러(4월 둘째주), -0.1달러(4월 셋째주), -0.9달러(4월 넷째주), -0.9달러(4월 다섯째주)를 보였다.

지난 8일(현지시간) 6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가 전 거래일 대비 배럴 당 5.1% 상승한 24.74달러에 장을 마감하는 등 최근 국제유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석유제품 수요 감소로 마이너스 폭을 키운 것으로 풀이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내수뿐만 아니라 글로벌 수요가 감소하면서 석유제품 수출 타격도 커지는 모양세다.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까지 수출액은 69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6.3%(59억6000만달러) 감소했다. 품목별로 보면 원유가 73.8% 급감했다. 기계류(-19.9%), 반도체(-18.6%) 등이 두 자릿수 이상 떨어졌다.

미국 등 주요 수출국의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해지는 점도 우려스럽다. 수출 상대국을 보면 미국(-54.8%), 유럽연합(-50.2%), 일본(-48.4%), 중국(-29.4%) 등에서 일제히 수출이 위축됐다.

이에 정유사들은 2분기에도 가동률을 줄이고, 정기보수를 앞당기는 등 자구책에 들어갔다. SK이노베이션은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코로나19로 수요가 급감한 점을 감안해 2분기에 정기보수에 들어감으로써 생산량을 1분기 대비 25만 배럴 줄일 전망"이라고 밝혔다. GS칼텍스는 정기 보수 일정을 다소 앞당겨 지난 3월부터 시작했고, 에쓰오일(S-Oil)도 예정된 정기보수에 들어갔다.

문제는 수요 반등 여부다. 석유수출기구(OPEC)와 러시아 등 산유국의 합의로 이달부터 원유 감산이 시작됐지만 여전히 국제유가는 배럴 당 30달러를 밑돌고 있다. 공급 과잉을 해결되어도 결국 석유제품 수요 회복이 중요하다는 점을 역설적으로 드러낸 셈이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5월 수요 회복과 국제유가 반등 추세가 일시적이지 않아야 한다"며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의 경제활동 재개가 늦어지면 상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