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실리' 택한 與…'비례연합정당' 참여까지 남은 과제는?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강나훔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비례연합정당 참여 여부를 전당원 투표로 결정하기로 하면서 사실상 참여 수순에 들어갔다는 분석이다. 미래통합당에 제1당을 뺏길 수 없다는 당내 전반적인 기류를 의식하고 내린 결정으로 결국 '명분'보다 '실리'에 방점을 뒀다는 평가가 나온다.

민주당은 9일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전당원을 대상으로 비례연합정당 참여 여부를 묻는 투표에 대한 진행 방식과 문항 관련한 논의에 들어간다.

전날 3시간여동안 진행된 최고위 회의에서는 비례연합정당 참여를 놓고 지도부 간 의견이 충돌한 것으로 전해진다. 최고위 내 일부 인사가 반대 의사를 강력히 피력한 가운데, 대다수는 비례연합정당 참여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에 참석한 이낙연 전 국무총리 역시 "비난은 잠시지만 책임은 4년간 이어질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수의 의석 확보가 우선이라는 당내 기류를 모를리 없는 당 지도부가 당원들 손에 선택을 맡긴 것은 결국 비례연합정당 합류로 가닥을 잡은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당 관계자는 "총선 성적으로 평가를 받는 당 지도부로서는 최선의 결정이 아닌가 싶다"라며 "또 총선 승리를 하지 못할 경우 문재인 정부의 국정 동력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점도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제 주목되는 것은 비례연합정당 참여 결정 이후의 과제다. 효율적인 비례 표심 관리를 위해선 당 외곽에서 창당된 '플랫폼 정당'들의 교통정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정봉주 의원과 손혜원 무소속 의원이 창당한 '열린민주당'과 사회 원로·시민단체들이 이끄는 '정치개혁연합', 최배근·우희종 교수가 주축이된 '시민을 위하여' 등 3곳이 대표적이다. 이들 각각의 세력을 하나로 묶는 것이 민주당의 다음 과제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실제 최배근 교수는 이날 "민주당이 정치개혁연합 측에 '시민을 위하여'와 같이 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안다"며 "그 정치개혁연합에서 부정적인 의사를 표명하면서 민주당은 '시민을 위하여'와 같이 갈 수밖에 없다고 밝힌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플랫폼 단일화를 위한 민주당의 고민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일각에서는 민주당이 이미 1석의 의석(손혜원 의원)을 확보한 열린민주당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의원 꿔주기'를 통한 '기호 순번 올리기'에 대한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민주당과의 연관성을 잘 드러낼 수 있는 당명도 매력적인 부분이다. 다만, 강서갑 공천배제 문제로 껄끄러워진 정 전 의원과 다시 대면해야 한다는 점은 민주당으로서 다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의당과 민생당의 비례연합정당 참여 반대 기조는 민주당에게 가장 큰 부담이다. 현재 이들 두 당은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정치권에선 민주당과 정의당·민생당의 엇갈린 기조가 계속 유지된다면, 민주당 단독으로 비례연합정당에 참여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비례의석을 독식할 수 있는 기회를 차지할 수 있겠지만 그만큼 부작용도 크다. 설훈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한 라디오에서 "우리가 미래통합당의 행태에 대해서 '위성정당이다, 가짜 정당이다'라고 비난을 퍼주었는데, 결과적으로 우리도 모양새가 비슷한 쪽으로 가기 때문에 비난을 피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