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퉁' 안드로이드·물가…美, 대중(對中) 무역전쟁 부작용에 골치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뉴욕=김봉수 특파원] 미국 정부가 급작스럽게 단행한 대(對) 중국 관세 인상 및 제재의 역풍에 시달리고 있다.

미 무역대표부(USTR)은 7일(현지시간) 연방 관보(federal register)에 공고를 내 대(對) 중국 관세 부과 시행을 특정 품목에 한 해 2주일 이상 연기한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부로 20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0%에서 25%로 인상하라고 지시한 품목 중의 일부로 알려졌을 뿐 자세한 품목명은 확인되지 않았다. 한 외신은 광범위한 범위의 농산물, 전자 장비,축산품, 수산물, 가구 등이 해당된다고 보도했다.

미 정부의 이같은 조치는 관세 부과로 인한 소비자 물가의 급격한 인상이라는 부작용과 미국내 수입업체들의 민원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으로 보인다.

미 정치전문 주간지 '워싱턴 이그재미너'는 "관세 부과 연기 조치가 수입업자들에게 관세 인상 전에 수입품을 비축할 수 있는 추가 시간을 줬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전미소매업연맹의 조나단 골드 부의장의 말을 인용해 "중국산 수입품 관세 인상에 따른 가격 인상으로부터 고객들을 보호하기 위해 소매업자들은 지속적으로 많은 양의 물건을 비축하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미국은 지난달 10일 관세 추가 부과를 발표하면서 일종의 유예 기간을 뒀었다. 실제로 25% 관세를 적용받는 중국산 제품은 지난 1일 처음으로 미국 항구에 도착했다. 중국 역시 1일 자로 미국산 수입품 600억 달러어치에 대해 품목별로 5%, 10%, 20%,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맞대응에 들어갔다.

미국 정부가 지난달 부터 국가 안보 저해를 이유로 갑작스레 단행한 화웨이 제재도 되레 미국의 안보를 위협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날 3명 이상의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해 화웨이에 안드로이드 운영 체계를 공급해 온 구글이 최근 미국 정부를 상대로 화웨이 제재에서 예외를 인정해달라고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구글은 화웨이 제재 조치에 따라 신규 제품에 대한 스마트폰 운영체계(안드로이드) 공급을 중단했다. 다만 3개월 유예 조치에 따라 기존 제품에 대한 패치만 제공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구글은 화웨이가 제재에 대항하기 위해 해킹에 취약한 변종(hybrid) 안드로이드 운영체계를 만들어 사용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전세계의 화웨이폰 사용자들로 하여금 해킹의 위험에 노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화웨이는 올해 내 안드로이드를 본딴 자체 운영 체계를 만들어 중국 소비자들에게 공급하는 한편 내년에는 전세계로 공급망을 넓힌다는 계획이다.

이에 최근 구글의 고위 임원들은 미 상무부 측에 예외 조치 연장 혹은 제재 대상에서 면제해달라고 요구했다. 또 화웨이에 반도체칩을 공급해 온 퀄컴 등 미국의 주요 반도체칩 회사들도 매출 감소에 따른 경영 악화 등을 우려해 이같은 요구에 동참했다고 보도했다.

미 상무부 측은 FT 측에 "규제의 범위에 대한 기업의 문의에 응했을 뿐, 법 집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해명해 구글 등의 요구가 거절당했음을 시사했다.

구글 측은 "다른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상무부와 협력하고 있다"면서 "우리의 초점은 미국과 전세계에 존재하는 수백만대의 화웨이 휴대폰을 통한 구글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욕=김봉수 특파원 bskim@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뉴욕=김봉수 특파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