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역 유행’ 대전…확산 분위기 속 지자체에도 화살

대전에서 홍역 확진 판정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최초 확진자가 입원했던 소아전문병원이 임시휴진 기간을 20일에서 23일로 연장했다. 출처=병원 홈페이지 캡쳐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대전의 한 소아전문병원에서 시작된 홍역 확산이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일각에선 홍역 발병 초기 지자체의 미흡한 실태파악 및 격리가 상황을 악화시켰다는 지적도 나온다.

2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날 기준 홍역 확진자는 총 21명, 모니터링 대상자는 1929명으로 각각 집계된다. 이날 현재 확진자 중 17명은 그나마 상태가 호전돼 격리해제 조치됐고 확진자 4명만 자택격리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문제는 홍역이 통상 10일~12일, 최장 21일 간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하는 특징을 보이는 점, 확진자와 접촉한 감염 모니터링 대상자가 지난달 최초 확진자 발생 이후 2000명 안팎으로 유지되는 점 등을 고려할 때 홍역 확산세가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데 있다.

실제 일자별 홍역 확진자는 ▲3월 28일 1명(최초 확진) ▲4월 5일 2명 ▲4월 6일 2명 ▲4월 8일 5명 ▲4월 9일 2명 ▲4월 12일 1명 ▲4월 15일 2명 ▲4월 16일 2명 ▲4월 17일 1명 ▲4월 20일 2명 ▲4월 21일 1명 등으로 시차를 두고 꾸준히 늘어나는 양상을 보인다.

또 확진자와 접촉한 인원은 이달 11일 1516명에서 21일 2286명으로 늘었다. 이중 시는 지난달 30일까지의 접촉자(21일 경과자)를 제외한 1929을 모니터링 대상에 포함시켜 관리하는 중이다.

앞서 홍역은 대전 유성구 소재의 한 소아전문병원을 연결고리로 확산 조짐을 보였다. 이 병원에서 감기증상으로 치료를 받던 생후 7개월 된 여아가 발열과 발진 등 홍역 의심증상으로 대학병원에 이송돼 지난달 28일 확진 판정을 받은 것을 시작으로 같은 병원에서 외래진료 또는 입원치료를 받던 생후 5개월~5세 영유아가 연이어 홍역에 감염된 것이다.

홍역 확진자 중에는 자녀의 치료를 목적으로 병원을 내방(외래 및 입원전력)했던 30·40대 어머니 3명과 병원 실습 중이던 대학생 1명 등 성인 5명도 포함됐다. 이처럼 지역에 홍역이 확산되면서 해당 병원은 이달 11일~23일(21일에서 이틀 연장) 임시휴진을 결정, 현재 진료를 임시 중단한 상황이다.

하지만 병원의 임시휴진과 별개로 지역에선 시의 전염병 관리소홀이 도마 위에 오른다. 실제 시는 지난 5일(최초 확진자 발생 후 8일만)에서야 홍역 환자 발생을 인지했고 그나마도 확진 일자를 지난달 28일이 아닌 이달 2일로 발표해 비난을 자초했다.

특히 시가 홍역 환자발생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되면서 초기 대응이 늦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선 최초 확진자가 머무르는 병원에서 다른 영유아와 보호자 등이 홍역에 노출될 가능성을 인지하지 못한 채 방치됐고 이 때문에 접촉자 규모 역시 늘어날 수밖에 없었다는 이유에서다.

홍역 확산 초기에 확진자의 주소가 대전, 공주, 세종, 경기 수원 등으로 퍼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자치단체 간 환자 현황이 공유되지 않은 점도 이번 사태를 수습하는 데 미흡점으로 꼽힌다.

다섯 살 여아를 자녀로 둔 김지은(36·서구 도안동) 씨는 “최근 홍역에 감염된 아이들과 같은 연령대의 딸을 둔 엄마 입장에서 이번 사태가 가볍게 다가오지 않는다”며 “특히나 홍역 진원지로 지목된 병원은 지역에서 제법 이름이 알려진 곳으로 이런 상황을 모를 리 없는 지자체, 보건소가 ‘애초부터 홍역 확산에 적극 대처했더라면…’이라는 아쉬움과 괘씸함을 갖는다”고 씁쓸해 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홍역 첫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부터 집단감염을 염두에 두지 못한 것은 불찰”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만 감염병 환자의 관리와 접촉자 추적은 환자의 주소지 관한 지자체의 소관 업무”라며 “시의 이번 감염병 대응은 질병관리본부의 매뉴얼에 따라 이행됐으며 이 과정에서의 문제는 없었다”고 항변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