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빈손 귀국' 책임자 北김영철은 건재했다

<h4 class="">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확대회의 참석北美회담 '노딜' 책임으로 문책 거론됐지만건재함 과시…대미협상라인 틀 유지할 듯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

[아시아경제 김동표 기자] 2차 북·미정상회담을 주도했던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확대회의에 참석한 것으로 10일 확인됐다. '하노이 노딜' 책임으로 숙청 당할 가능성도 제기됐으나 건재함을 과시한 것이다. 그를 중심으로 한 대미협상 라인에도 큰 변화가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0일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은 전날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당 중앙위 본부청사에서 정치국 확대회의를 주재했다며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들과 정치국 위원, 후보위원들이 참가했다"고 전했다.

통신은 참석자들의 명단을 호명하지는 않았지만 이날 공개한 사진에서 김 부위원장의 모습이 뚜렷하게 포착됐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의 카운터파트인 김 부위원장은 올해 1월 워싱턴DC를 찾는 등 고위급 회담을 통해 2차 북미정상회담을 진두지휘해왔다. 그러나 회담은 합의문 채택없이 끝났고, 66시간 기차를 타고 하노이에 왔던 김 위원장은 당혹감이 역력한 모습이었다.

김 부위원장의 건재는 그럼에도 2차 북·미정상회담을 '실패'로 규정하지 않았던 북한의 입장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보인다. 노동신문은 회담 무산 직후인 지난달 1일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화기애애한 대화 사진을 게재하면서 "하노이 수뇌회담에서 논의된 문제해결을 위한 생산적인 대화들을 계속 이어나가기로 하시였다"고 전한 바 있다.

또한 김 부위원장에 대한 문책은 최고존엄의 '패배', '실패'를 자인하는 셈이라, 이를 고려한 현실적인 결정으로 볼 수도 있다.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오른쪽 맨 끝 붉은 원)이 9일 열린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확대회의에 참석하며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에도 '건재'를 과시했다. 신병이상설이 나돌았던 박광호 노동당 부위원장(오른쪽에서 두 번째 붉은 원)도 158일(중앙통신 보도기준)만에 공개석상에 등장했다.

한편 이날 확대회의에는 김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의 참석도 확인됐다.

그는 2014년 당 부부장을 시작으로 당중앙위원회 위원, 정치국 후보위원, 제1부부장 등 당 직위를 받은 데 이어 지난달 1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까지 공식 데뷔했다. 정식으로 대의원에 진입한 만큼 향후 '핵심실세'로서의 역할이 더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확대회의에는 김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의 참석도 확인됐다. [사진 가운데 아래쪽 빨간색 둥근 원]

5개월 넘도록 보이지 않으며 병상에 있다고 알려진 박광호 노동당 부위원장은 이날 정치국 확대회의에 참석하며 신변이상설을 일축했다.

회의에는 박봉주 내각 총리와 양형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부위원장, 최고사령부 제1부사령관인 리명수 차수(대장보다 한 등급 위 계급)를 비롯해 리수용·김평해·태종수·오수용·박태성·안정수·로두철 당 부위원장들이 참석했다.

김수길 군 총정치국장과 최부일 인민보안상, 노광철 인민무력상, 리영길 총참모장, 정경택 국가보위상 등 군부 인사들도 배석했다.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