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경들 실체입니다” vs “적극적으로 사고 처리”…교통사고 대응 논란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아시아경제 한승곤 기자] 지난달 한 포털 사이트 카페에 교통사고 현장을 정리하는 여성 경찰(여경)들의 사진이 올라오면서 이를 둘러싼 논란이 격화하고 있다. 공개된 사진을 보면 여경 4명이 민간인 남성 2명과 교통사고 현장을 정리하고 있다. 논란은 사진 속 남성들은 차량 위에 올라가 현장 등을 정리하고 있고, 여경 4명은 도로에서 단순 통제만 하는 것으로 보이면서 확산됐다.네티즌들은 관련 기사 댓글을 통해 사진 속 여경들을 비난하며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도 청원을 통해 이를 질타하고 나섰다. 논란이 확산하자 경찰 관계자는 해명에 나섰지만, 이 해명도 비난을 받으면서 논란은 더욱 확산하고 있다.지난 28일 ‘경찰공무원을 꿈꾸는 사람들’에는 “여경들의 실체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글쓴이는 “현장에 여경 4명이 출동했는데 정작 아무것도 못 하고 구경 중이던 아저씨 혼자서 구출 중”이라며 “이건 좀 아니지 않나요? (여경) 4명이 ‘어떡해’ 이러고 있더라”라고 전했다.해당 사진은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로 확산했고, 네티즌들은 “여경 체력검사 엄격하게 해야 한다. 여자랍시고 봐주니까 저런 꼴 나는 것” 등의 발언으로 사진 속 여경들을 비난했다.또 관련 기사 댓글 대부분도 “여경이나 여군 선발할 때 무릎 대고 팔굽혀펴기로 체력 테스트하는 웃기는 짓거리 좀 하지 마라”면서 “그걸로도 업무에 지장이 없다고 할 거면 남자도 그렇게 하라고 하든가”라고 비난했다.또 다른 네티즌들도 “아니 시민이 구하고 있고 경찰이 차 문 잡고 있던 게 정상이야?”, “녹색어머니회가 힘도 잘 쓰고 더 적극적으로 구조할 듯” 등의 질타가 이어졌다.

사진=연합뉴스

논란이 불거지자 경찰은 해명에 나섰다. 지난달 29일 한 경찰관계자는 ‘파이낸셜뉴스’를 통해 “(여경들은) 그저 바라만 보고 있던 게 아니다”라면서 “여경 한 명이 운전자가 쉽게 나올 수 있도록 사고 차량 문을 잡고 있었다”고 말했다.그러면서 “다른 여경들도 2차 사고를 예방하며, 견인 차량을 부르고 운전자가 구출된 뒤 119에 인계해 병원에 후송하는 등 인터넷에 올라온 글과는 달리 적극적으로 사고를 처리했다”고 강조했다.하지만 경찰 관계자의 이 발언 역시 논란에 휩싸였다. 네티즌들은 “저 현장에 직접 있었어요……. 여경이 막 정신 못 차리면서 두리번두리번하더니 도움 요청했고 정작 거들지도 않았음”, “아닌 사람이 한 명 밖에 못 올라가면 경찰이 올라가서 구해야 하는 게 당연한 거 아닌가요” 등의 비난이 쏟아지면서 논란은 확산하고 있다.실제로 오늘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 ‘여경’이라고 검색하면 해당 사건을 성토하는 글이 다수 올라왔다. 한 글쓴이는 “여경 존재 의의가 도대체 뭔가요?”라면서 “이런 와중에 여경 채용인력을 늘린다고요..? 저는 이 정부 정책 다 좋고 다 따르는데 이런 것만은 도무지 이해를 못 하겠습니다.”라고 말했다.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도 “부산 여경 하는 짓 보고도 여경을 늘린다는 무능한 정부, 민갑룡 경찰청장 반성 좀 하세요”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라왔다.청원인은 “진짜 부산 여경 사진 올라온 거 보고 경악했네요”라면서 “간단한 교통사고 하나도 체력 없어서 4명 경찰이 환자 1명도 못 끄집어내는데 만약 우리나라에 테러나 거나 큰 사고 나서 수백 수천 명 구조해야 할 때 여경들이 할 수 있냐고요”라며 분통을 터뜨렸다.한편 경찰 관계자는 해명에 덧붙여 “경찰을 준비하는 남자 수험생들 입장에서는 여경 채용 정원이 늘어난다고 하니 여경에 대한 안 좋은 시선이 생기면서 이런 일이 벌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center><div class="slide_frame"><input type="hidden" id="slideIframeId" value="2015062911075503585A">
</center>한승곤 기자 hs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슈팀 한승곤 기자 hs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