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열린다, 투자기회 열린다]사치재 눈뜬 北…개방 가속도

<4>경협 전방위적 수혜 기대감北, 곡물보다 과실·견과 더 수입"먹는 돈 아껴서 화장품"[아시아경제 박나영 기자]'한국라면 3000원, 중국라면 1500원, 북한라면 800원.'평양의 '장마당' 평성시장에서는 '신라면'이 가장 인기라고 한다. 북한의 국경 통제가 강화되기 전인 2014년까지 신라면은 중국을 통해 북한으로 가장 많이 유입되는 밀수 제품 중 하나였다. 중국라면보다 2배 비싸고, 북한라면에 비해서는 4배 가까이 쳐준다. 북한에서는 옥수수국수 1kg에 맞먹는 가격으로 흔히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아니다.신라면의 가격이 월등히 높은 것은 선호도 때문이다. 그만큼 해외 식품에 대한 잠재적 수요가 높은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북한도 1970년부터 '꼬부랑국수', '즉석국수'라 는 이름의 인스턴트 라면을 판매해오고 있다. 하지만 북한의 라면 수입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최선미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라면은 구호물품과 기호에 따른 차등 소비품목, 두 가지 성격을 가지고 있다"며 "남북 교역 활성화 시 중국산 라면보다 선호도가 높은 한국산 라면 수요가 크게 늘 것"이라고 예상했다.남북 경협의 수혜는 먹거리, 입을거리, 볼거리 등 모든 산업에 걸쳐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북한의 국내총생산(GDP)은 31조9966억원,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146만원으로 각각 남한의 2.1%, 4.5%에 불과하다. 식량자급률은 87.2%로 남한(50.9%)보다 높은데, 생산성이 높아서가 아니라 국제 교역을 통한 조달 한계 때문이다. 북한의 농림어업 비중은 21.7%로 서비스(31.1%)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경제구조를 갖고 있다.제한된 교역 환경에서도 북한의 사치재 수입 비중은 꾸준히 늘고 있다. 2016년 농수산 식료품 수입(4억9186만달러) 품목을 보면 동물성 유지 및 분해생산물(20.7%)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다음은 식용 과실 및 견과류(20.5%), 어류ㆍ갑각류ㆍ연체동물 등(15.9%), 담배(6.4%), 곡물(5.4%) 순이었다. 최 연구원은 "과실, 견과류, 낙농품, 천연꿀 등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다. 생존을 위한 필수재인 곡물류 수입보다 사치재 성격을 가진 식료품 수입 비중이 높다"고 했다."먹는 돈은 아껴도 화장품은 좋은 것을 써야 한다"는 말이 돌 정도로 북한 여성들의 미(美)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북한 소비 행태에 비춰 전문가들은 북한의 소비시장 확대가 예상보다 빨리 올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는다. 박종대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북한의 GDP가 5000달러에 이르는 2035년에 이르러서야 소비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북한의 핵심 재화 유통경로인 장마당의 성장 속도를 고려하면 이 시기가 예상보다 빨리 올 수 있다. 장마당과 '돈주(돈의 주인)'는 북한 경제의 핵심이며 이들을 중심으로 한 세대 교체가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장마당 경제의 규모는 북한 GDP의 20~3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남북경협의 목표는 '하나의 시장'이다. 인도적 지원과 더불어 개성공단 재개로 협력사업이 본격적으로 물꼬를 틀 전망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초반에는 북한 소득 보전과 생활 향상을 위해 음식료, 비료, 농기계, 의약품 등 지원이 확대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개성공단은 봉제, 신발, 가방 등 노동집약 업종 중심의 공단에서 2단계 기계ㆍ전기ㆍ전자 등 기술집약적 공단, 3단계 ITㆍ바이오 등 첨단 산업분야의 복합공업단지로 발전할 것"이라고 예상했다.박나영 기자 bohena@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자본시장부 박나영 기자 bohena@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