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제도 개편] 학생부 기재항목 축소…평가기준 공개도 논의

내년 고1부터 수상경력·부모 정보 제외기재항목 10개→7개로 줄여…평가자료 부실 우려도학종전형 공정성 위해 평가기준 공개 필요성 대두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교육부가 11일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 시안과 함께 공개한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신뢰도 제고 시안은 기재항목을 학교생활 중심으로 단순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현행 고교 학생부에는 인적사항과 학적사항, 출결상황, 수상경력, 자격증 및 인증취득상황, 진로희망사항,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교과학습발달상황, 독서활동상황,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등 10개 항목이 있다.교육부는 이 가운데 인적사항과 학적사항을 '인적·학적사항'으로 통합하면서 부모 정보(이름·생년월일) 등을 빼 단순화하고, 수상경력과 진로희망사항 항목을 없애는 안을 검토한다. 이렇게 되면 기존의 10개 항목이 7개로 줄어든다.남은 항목 7개 안에 들어가는 세부내용 가운데 방과후학교 활동(교과학습발달상황)과 봉사활동·자율동아리는 물론 학교 밖에서 이뤄지는 청소년단체 활동(창의적체험활동상황)도 기재하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소논문도 정규 교육과정에서 지도를 받은 경우만 학생부에 쓸 수 있도록 한다. 자격증과 인증취득상황은 현행대로 쓰되 학생 진로와 관련 없는 스펙 쌓기가 이뤄질 우려가 있어 대입 자료로 제공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하는데 이 경우 대입에 활용되는 항목이 1개 더 줄어드는 셈이다.
교원의 학생부 기재 부담을 줄이고자 창의적 체험활동상황의 특기사항은 기존 3000자에서 1700자로 줄이고,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역시 1000자에서 500자로 줄인다.교사들 사이의 학생부 기록 역량을 차이를 줄이고자 교원 연수를 늘리고, 교육청의 학생부 기재·관리 실태점검을 강화하기로 했다.이같은 학생부 신뢰도 제고 방안은 여론조사와 국민 모니터링단 의견조사 등 '숙려제'를 거친 뒤 교육부가 6월까지 확정한다.이와 별도로 국가교육회의는 학종전형 신뢰도를 높이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쟁점은 대학들이 평가 기준을 공개할지, 국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신입생 고교별·지역별 정보를 공개할지, 자기소개서·교사추천서를 폐지할지 여부다.평가 기준에 대해서는 그간 학생·학부모의 꾸준한 공개 요구가 있었지만 정성평가 특성상 기준을 공개하더라도 공정성 논란을 잠재우는 데 한계가 있고, 공개된 기준에 맞춰 입시 컨설팅이 늘어날 우려가 있다.학생부 항목을 단순화하고 학종 평가 기준 등을 공개하더라도 기존 '깜깜이 전형'이라는 비판이 없어질지는 미지수다. 교사의 관심도·기재 역량 차이 등 공정성과 신뢰성에 대한 논란거리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평가항목을 줄이다 보면 오히려 각 대학이 평가하게 되는 자료가 부실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