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시설 관리 국비지원 둘러싸고 정부·강원도 '팽팽'

스켈레톤 경기가 열린 강원도 평창군 올림픽슬라이딩센터. 지난달 15일 스켈레톤 남자 2차 주행에서 김지수 선수가 코너를 돌고 있다./평창=김현민 기자 kimhyun81@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 김흥순 기자] 평창동계올림픽 시설관리방안을 둘러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 논의가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강원도와 일대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국비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어필하는 가운데 정부는 평창올림픽 시설만을 따로 지원하기 힘들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정부부처 사이에서도 의견조율이 쉽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면서 합의안을 마련하기까지 난항이 예상된다.강원도 등에 따르면 이번 올림픽을 위해 새로 지은 경기장 가운데 3곳이 아직 관리주체나 활용방안을 결정하지 못했다. 강릉에 있는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과 하키센터,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다. 여기에 스키점프까지 포함해 경기장 4곳에 대해 정부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강원도 측 주장이다.관계부처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이후 문체부와 강원도, 국민체육진흥공단을 비롯해 각 체육단체와 함께 올림픽시설 사후활용방안을 찾기 위해 임시조직(실무 TF)이 꾸려져 논의해왔다. 실무 TF와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지난 12월부터는 국무총리실ㆍ기재부 등과 함께 협의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상황이다.27일 국회 평창동계올림픽 및 국제경기대회지원 특별위원회에 나온 도종환 문체부 장관은 "국비분담 비율을 55%선에서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간 강원도에선 국비를 75%가량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보다는 적은 수치이나 정부가 구체적인 분담비율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시설 특성상 일반인이 폭넓게 쓰기엔 제한이 있는 데다 이번 올림픽을 계기로 동계종목에 대한 관심이 올라가고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강원도는 국비를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기재부는 시설관리나 운영비 명목으로 일정 비율을 분담하는 방안 자체에 부정적인 것으로 전해졌다.그간 다른 지역에서 열린 국제 스포츠대회의 경우 이처럼 운영비를 지원한 전례가 없기 때문이다. 기재부는 이들 시설을 국가대표 훈련용도로 쓰면서 사용료를 지불하는 방식을 고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종환 장관이 언급한 55% 국비지원 방안의 경우 일종의 '중재안'인 셈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아직 관계기관 협의중인 만큼 구체적으로 결정된 건 없다"며 말을 아꼈다.강원도의회에 따르면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의 경우 연간 운영비가 32억5400만원 들어가는데 반해 운영수익은 10억원가량으로 예상됐다. 한해 정상적으로 운영하더라도 적자만 22억원이 넘는다는 추정이다. 하키센터는 운영비가 28억300만원인데 수익은 6억원으로 적자가 21억원이 넘어설 것으로 추정됐다.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역시 예상 적자규모가 연간 9억900만원, 일정 부분 복원을 계획중인 정산 알파인경기장은 예상적자가 36억8200만원에 달했다. 스키점프나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시설도 해마다 11억4300만원가량 손해인 것으로 내다봤다.정부지원방안이나 국비 분담비율은 현재 정부가 진행중인 관련 용역결과를 토대로 결정될 전망이다. 결과는 올 상반기 중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원도는 관리공백을 우려, 우선 시설유지ㆍ관리를 위해 민간업체를 선정키로하고 검토에 들어갔다.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4차산업부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4차산업부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