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패션협회, 2017년도 한국 패션산업 10대 뉴스 발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패션업 패러다임 변화소비·유통·스타일 트렌드 변화 등 10대 뉴스로 선정
[아시아경제 조호윤 기자]한국패션협회가 올해 패션업계 동향을 담은 10대 주요 뉴스를 선정, 발표했다. 협회는 홈페이지 및 패션넷코리아 게재 글 및 주요 포털사이트 데이터 분석 과정을 통해 ‘2017년도 한국 패션산업 10대 뉴스’를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10대 뉴스 선정은 3200여개 패션업계 뉴스를 수집 및 분석한 후 20개 키워드 선정 후 선정된 20개 이슈 키워드 패션업계 실무자 간담회 통한 의견 수렴 및 연간 포털사이트 게재된 기사·정보 빅데이터 약 100만 건을 분석해 중요도 및 관련도 기준으로 선정했다. 한국패션협회는 "올해 패션업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이슈와 함께 대변혁기를 맞았다"며 "특히 디자인 감성산업이었던 패션산업이 데이터에 기반을 둔 플랫폼 혁신 산업으로 재정의 되고, 이에 따른 소비, 유통, 스타일 트렌드가 변화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협회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전안법), 중간관리자의 근로자성 인정, 장기불황 등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롱패딩 열풍 등 훈훈한 소식으로 올해를 마감했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한국패션협회가 선정한 10대 주요 뉴스다. ◆4차 산업혁명, 패션산업 패러다임 변화인공지능,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등 4차 산업혁명 열풍은 패션산업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고 있다. 디자인 감성산업이었던 패션산업은 아마존, 구글의 패션산업에 대한 관심과 함께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데이터 기반 플랫폼 혁신 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협회는 추천 알고리즘, 큐레이션 서비스 등 일명 ‘취향저격’ 고객 맞춤형 제품 기획을 위한 패션 인공지능(A.I) 상품기획(MD) 도입 등으로 발전될 것이며, A.I, 딥러닝 등을 이용한 개인 큐레이션 서비스 시장 확대로 전개될 것으로 예측했다. ◆모바일 채널, 이커머스 마켓 장악모바일 쇼핑거래규모 월 4조원 돌파, 네이버 쇼핑 플랫폼의 급성장, 패션 브랜드들의 자사몰 강화, 온·오프연계(O2O) 채널 본격 시행, 1인 미디어, 인플루언서 마케팅 강세 등 온라인에서 모바일 중심으로 시장점유율을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차별화된 콘텐츠로 고객 체류 시간을 늘리고 있다. ◆험난한 경영환경, 노사 협력 노력판매직 사원을 대거 정규직화한 패션기업이 나오는 등 정부가 권장하는 노동법의 모범 사례가 패션업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히트 아이템 돌풍벤치파카, 스트리트 웨어, 후드 티셔츠 등 단일 아이템 전성 시대로 최근 롱패딩 열풍은 장기 불황에 매출 효자 아이템으로 한국 패션 기업의 생존 및 지속 성장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사드’ 여파로 ‘China 플러스’ 부각중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 영향으로 중국에 집중했던 해외 시장 진출 이슈가 중국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로 확대되고 있다. 직진출 보다는 라이선스 비즈니스, 파트너쉽 등 진출 방법에도 변화가 감지됐다. ◆대세로 떠오른 1인 소비시장 1인 가구 소비량은 2015년 기준 27.2%의 점유율을 나타내며 소비시장의 중심세력으로 자리매김했다. 욜로족, 워라밸, 덕후, 1인 패키지, 싱글슈머, 일코노미 등 1인 소비시장이 야기한 새로운 소비 행태가 나타난 것. ◆유통기업 자체브랜드(PB) 상품신세계, 현대, 롯데 등 대형 유통 3사 뿐만 아니라 무신사, W컨셉 등 온라인 셀렉트숍도 PB개발에 집중함. 단순 가격경쟁력을 내세우는 PB 상품기획에서 발전돼 트렌디함과 다양성, 상품력을 구축한 브랜드로 개발되고 있으며 매출 비중은 30% 이상을 기록 중이다. ◆협력사와의 상생으로 지속 성장 모델 추구올해 공정거래위원회의 전방위적인 갑질 근절을 위한 각종 정책이 펼쳐지고 있는가운데 패션기업들도 대리점 및 협력사와의 상생 관계 형성을 위한 자발적인 자정 노력 및 실제적인 기업 내부의 검증과 보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협회측은 말했다. ◆복고, 트렌드가 되어 돌아오다1980~2000년대 초반 출생자로 대한민국 인구의 40%를 차지하는 밀레니얼 세대는 사회적 혼란기에 인식이 높은 젊은 세대들이 아이콘으로 떠오르며 '저항'을 상징하는 유스 컬처가 문화의 전반적인 흐름을 차지하고 있다. 힙합, 서핑, 스케이트 보드 등 문화를 등에 업고 스트리트 캐주얼과 복고 트렌드가 캐주얼 및 스포츠 시장 성장에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구조 고도화 시작한 패션 업계온라인 채널에서만 전개하는 브랜드 탄생, 비효율 브랜드 정리, 회전율 증대 및 제고율 감소 등 끊임없는 프로세스 혁신을 통해 단순히 외형을 확장하기보다는 실질적인 이익률 개선을 위한 방안 강구를 통해 지속되는 패션업계의 장기 불황을 극복하고 있다. 조호윤 기자 hodo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유통부 조호윤 기자 hodo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