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전면 보이콧' 푸나…'국방위·정보위는 참여할 필요있다'

정우택 '최고위서 최종 결정…정기국회 보이콧, 언론장악 막고 자유민주주의 수호 위한 것'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오른쪽)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이설 기자]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4일 정기국회 '보이콧' 방침과 관련 "국방위원회나 정보위원회 정도는 정부 대책을 듣고 국민에게 알리는 건 필요하다"며 "최종 결정은 최고위원회의를 통해서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이날 YTN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지금까진 의총에서 정한 전면 보이콧이라는 당론에서 변함이 없다"면서도 "안보 문제에서는 초당적 측면이 강조돼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앞서 한국당은 김장겸 MBC 사장 체포영장 발부에 반발해 국회 일정 전면 불참을 선언했지만, 북한 6차 핵실험과 관련한 대응책 논의를 위해 안보 관련 일정에 일부 참여할 가능성이 엿보인다. 정 원내대표는 "상임위 개최, 참여 여부는 오늘 최종 결정하겠다"며 "이 문제와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외로운 투쟁을 병행해 나가야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회 보이콧 배경에 대해선 "MBC 사측의 부정노동행위가 MBC 사장에게 체포영장을 발부할 정도로 중대하고 급박한 것이었는지 되묻고 싶다"며 "현직 공영방송 사장 체포영장 발부는 언론 장악의 숨겨진 발톱을 드러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정권이 정권방송, 어용방송, 노동자를 위한 노영방송을 만들겠다는 언론말살 장악 기도로 본다"며 "(보이콧은) 단순히 정쟁 차원의 대응이 아니고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겠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또한 여당에 "적어도 언론을 장악, 파괴하지 않겠다는 납득할만한 약속과 이행을 보여줘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편 정 원내대표는 북한 핵·미사일 대응 등 대북 정책에 관해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도 '대화 무용론'을 공개적으로 이야기했다"며 "문재인 정부는 국제공조를 통해서 실질적인 대북 압박, 제재에 총력을 기울여 북한 핵 폐기를 이끄는 강력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에서 수소폭탄 성공 가능성까지 나오는 만큼 대화를 구걸해선 안 되고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같이 하는 외교적 전략이 필요하다"면서 "전술핵 배치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이설 기자 sseo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정치부 이설 기자 sseo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