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한미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4형 발사징후를 미리 포착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양국의 대북 정찰능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북한이 4일 화성-14형을 발사하자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미사일 발사 징후가 파악돼 어제부터 예의주시했다"며 "한미 당국의 초기 판단으로는 이번 도발을 중장거리 미사일로 추정하고 있으나, ICBM급 미사일일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정밀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주한미군은 정찰위성 및 U-2 고공정찰기 등 정찰기를 통해 수집한 영상정보(IMINTㆍ이민트)나 북한군 통신을 감청한 통신(COMINTㆍ코민트)ㆍ신호정보(SIGINTㆍ시긴트) 등을 중심으로 북한의 도발 징후와 내부 동향을 파악해 왔다. 특히 4일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평안북도 방현은 미사일의 이동식발사차량(TEL)과 지원차량을 설계ㆍ제작하는 '95호 공장'(구성 전차공장)과 가까워 미사일 발사 장소로 종종 이용되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무수단을, 지난 2월에도 북극성2형을 방현 일대에서 발사했다. 주한미군은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기 몇일 전부터 징후를 포착해 우리 군과 정보를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이번 미사일 발사를 위해 다양한 '위장 작업'을 강화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감시를 교란시키기 위해 실제로 발사 차량과 발사대, 인력 등을 수시로 이동시켰고, 발사 장비들을 기존에 활용하던 장소가 아닌 전혀 새로운 곳으로 갖다놓기도 했다. 한미 연합군 정보자산의 정보망을 피하기 위한 '숨바꼭질'식 기만전술을 펼친 것이다.북한의 기만전술은 지난달에도 포착됐다. 북한이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서해 위성발사장에 새로운 시설물을 공사하려는 정황이 포착되기도 했다. 미국의 북한전문 온라인 매체 38노스는 최근 북한이 지난해 장거리 로켓을 발사하고 대출력 발동기(엔진)의 지상분출 시험을 한 서해 위성발사장에 새로운 건물을 세우고 있다고 추정했다. 이 공사는 2014~15년 진행되다 2015년 중반 갑자기 중단됐다가 올 3월 재개된 것이다. 실제로 새로운 건물 내에서 미사일 조립이 이뤄질 경우 로켓 발사를 사전탐지하기가 사실상 어려워질 것으로 보여 진위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징후를 확실히 포착하기 위해서는 우리 군의 정찰위성 도입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에 대응하는 한국형 3축은 킬체인(감시ㆍ타격체계), 한국형미사일방어(KAMD), 대량응징보복(KMPR) 체계를 말한다. 북한의 이동식 발사차량(TEL)을 이용한 미사일 발사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킬체인의 '눈'에 해당하는 정찰위성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정찰위성 도입사업이 늦어지면서 임대사업을 추진 중이지만 이마저도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군은 현재 정찰위성 임대를 추진하기 위해 이스라엘, 프랑스, 독일을 상대로 궤도 적합성 등을 검토 중이다. 국방부 정보본부가 검토를 마치는 대로 방위사업청은 3개국을 대상으로 임대비용 등을 감안한 선행연구를 진행하고 계약을 체결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협상국에서 정찰위성 노출등을 우려해 협상자체가 아직은 미지수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