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대(앞줄 왼쪽 세 번째) 특허청 차장이 최근 독일 뮌헨 유럽특허청(EPO) 본부에서 열린 ‘세계 5대 특허청(IP5) 차장회의’에 참석, 각국 차장들과 의견을 교류하고 있다. 특허청 제공
세계 지식재산 5대 강국 저력직원 4명 중 1명은 박사학위대학·중소기업 대상 IP-R&D연계동반성장·일자리 창출 주력[아시아경제 정일웅 기자] 올해로 '개청 40주년'을 맞이한 특허청이 4차 산업혁명의 첨병으로 거듭난다. 특히 상대적으로 지적재산권(IP) 분야에 취약한 대학과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IP-연구개발(R&D)' 연계 전략사업을 펼친다. 이를 통해 고부가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업들이 인공지능 분야 등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우리나라는 미군정 당시 산업재산과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을 총괄하던 '특허원'을 확대·승격해 1977년 3월 특허청을 출범시켰다. 현재는 세계 5대 지식재산권 강국으로 자리매김, 미국·중국·일본·유럽 국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 <편집자 주>
1986년 서울 강남구 역삼동 풍림빌딩 내 특허청사 입주 기념식이 진행되고 있다. 특허청 제공
◆세계무대에 선 '한국 특허청'의 위상…직원 4명 중 1명은 박사학위 이상우리나라 특허청은 현재 명실상부한 세계 지식재산 5대 강국으로 꼽히며 미국, 일본, 유럽 등 국가와 어깨를 나란히 한다. 세계 특허부문의 국내 위상은 2015년을 기준으로 산업재산권 출원규모 4위, 국제특허출원(PCT) 5위, 미국 내 특허출원 3위, 국내 인구 100명당 특허출원 건수 1위 등의 순위로도 확인된다. 최근에는 특허심사처리기간을 종전 39개월(1990년대 기준)에서 평균 1개월로 단축하는가 하면 특허넷 시스템을 UAE, 아프리카 등 해외에 수출하는 등으로 국제사회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이러한 성과들이 모이면서 그간 미국, 일본, 유럽이 주도해 온 국제 지식재산권 체제가 현재는 한국과 중국을 포함한 5자간 체제로 전환된 점도 주목할 점이다. 이는 한국 특허청이 세계무대에서 명실상부한 지식재산 강국 대열에 합류했음을 방증하는 대목이 된다. 특히 우수인력을 모태로 미래 성장 동력을 갖췄다는 점은 특허청이 내세울 수 있는 강점으로 꼽힌다. 1600여명의 특허청 전체 직원 중 박사학위 이상의 학력 소지자는 총 435명(26%)으로 중앙행정기관 중 고학력자 비율이 가장 높다. 특허청은 이 같은 우수인재를 밑천으로 지식재산 강국의 초석을 다지며 새로운 기술·산업발전과 함께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특허청 이영대 차장은 "특허청은 지난 40년간 꾸준히 조직과 인력의 내실을 닦는데 매진했다"며 "특히 올해 개청 40주년을 맞이해 국내 기업의 지식재산 창출·활용·보호서비스를 강화, 우리나라가 앞으로 4차 산업시대에 대응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특허청은 현재 정부대전청사에 입주해 업무를 진행한다. 사진은 정부대전청사 전경. 특허청 제공
◆4차 산업혁명시대 대응…신흥 시장 개척 및 일자리 창출에 주력특허청은 올해 국가적 지식재산의 가치창출로 국제적 경쟁력을 키우고 새 정부의 키워드 중 하나인 일자리 창출과 중소·중견기업의 동반성장(상생)을 이끌어 가는데 첨병 역할을 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특허청은 우선 '지식재산(IP)-연구개발(R&D)' 연계 전략지원을 강화해 인공지능 등 분야의 고부가가치 특허창출을 도모하는 한편 법령·제도 개선으로 기업별 지식재산 경영기반을 확충하고 있다.또 스타트업 부문의 투자 확대와 대학·공공연구기관의 우수 특허기술 거래·사업화를 촉진함으로써 지식재산을 무기로 한 신흥시장 선점과 일자리 창출을 일궈내는 데 역량을 다하고 있다.이는 문재인 정부가 강조하는 일자리창출과도 맞물린다. 특허청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된 역할 중 하나로 지식재산 분야 내에서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꼽고 있다. 또 중소·중견기업과 4차 산업혁명 핵심 분야의 'IP-R&D' 연계전략으로 우수기술을 보유한 개개의 중소기업이 표준특허 역량을 확보, 강소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돕는 한편 상대적으로 약자에 속하는 중소·벤처기업의 아이디어와 기술보호를 강화하고자 힘을 모으는 중이다. 이영대 차장은 "특허청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상대적으로 소외되기 쉬운 중소·중견기업의 역량강화를 지원할 것"이라며 "이와 함께 이들 기업의 아이디어를 도용·탈취하는 행위에 제동을 걸어 기업생태계에 동반상생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