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의 '한국형 4차 산업혁명'… 답 없는 일자리 창출

KT, 한국형 4차 산업혁명 제시 한국사회 문제 해결 통한 포용적 성장 필요 일자리의 양적 성장에 있어서는 답 없어

김희수 KT경영경제연구소 대외정책연구실장은 29일 '한국형 4차 산업혁명의 미래'의 발간을 기념해 마련한 자리에서 5G 등 ICT를 활용한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KT의 '브레인'인 경제경영연구소가 현 정부 기조에 맞춰 '한국형 4차 산업혁명의 성장전략'을 내놨다. 연구소는 거시적 안목에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예견하면서도 양적인 면에서 일자리 창출에 대해서는 시원한 답을 내놓지 못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우려가 큰 상황에서 5G 등 핵심 기술을 선도해 나가는 KT조차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임에 따라 거시적이면서도 세밀한 연구를 통해 미래를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김희수 KT경영경제연구소 대외정책연구실장은 광화문 KT빌딩에서 개최한 '제 3회 KT Future Forum(퓨처 포럼)'에서 "저성장, 불평등, 저출산과 고령화라는 한국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는 ICT를 설계할 때부터 '포용적 성장'이라는 가치를 넣어 사회문제 해결 프로젝트를 만들었을 때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민간은 기술과 상품을 개발하고 정부는 환경을 지원해야 한다"며 "정부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거대한 미션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여기에 민간을 참여시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무엇보다 정부는 거대한 기술 진보에 대비한 재교육을 주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5G(5세대 이동통신)를 통한 고령층 케어, VR을 통한 교육 격차 완화, AI를 통한 직업 재교육 등으로 핵심 사회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고 제시했다. 특히 김 실장은 일자리 부문의 경우, 2015년 맥킨지 자료를 인용해 온라인 인재 플랫폼 개발을 통한 잡 매칭으로 2025년 GDP는 2%, 고용창출 효과는 7200만명에 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김 실장의 5G 시대 혹은 한국형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따른 일자리 창출 계산법에는 문제가 있어 보였다. 김 실장은 '5G 등 ICT를 활용한 경제 성장 및 일자리 창출효과'에 있어,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16년 취업자수 2624만명을 기준으로 2030년 2820만~2850만명(KT 경제경영연구소 추정)의 고용이 유발될 것으로 예측했다. 14년간 최대 226만명이 증가한다는 얘기다. 한 해 평균으로 따지면 16만명 가량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는 뜻이다. 김 실장은 관련해 "5G 등 기술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향후 ICT 기술을 적용해 효율성 개선될 경우 고용 증가 효과를 거시적으로 분석해 얘기한 것"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김 실장이 근거로 한 기재부의 취업자수 통계는 지난 4년간 한 해 평균 39만명씩 늘어왔다. 2015년 2594만명, 2014년 2560만명, 2013년 2507만명, 2012년 2468만명 순으로 취업자수가 커졌다. KT가 5G 시대를 예측하며 내놓은 수치보다 두 배 이상 큰 수치다. 정부 수치와 달리 5G 시대에는 일자리 증가세가 절반으로 뚝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이다. KT도 5G 시대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는 황창규 회장 취임 이후 지난 3년간 9000여명의 일자리가 줄었다. 김 실장은 관련해 "특정한 기업이 기술을 활용함으로서 고용이 더 될지 여부는 기업 단위 연구를 진행해봐야 하는 문제"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자리는 KT경제경영연구소가 오는 31일 출간하는 연구서적 '한국형 4차 산업혁명의 미래'의 발간을 기념해 마련됐다.

김희수 KT경영경제연구소 대외정책연구실장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