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고삐 죄는 美, “대화 아닌 제재 필요”‥러시아 압박도

니케 헤일리 유엔주재 미 대사(사진=AP연합)

[아시아경제 뉴욕 김근철 특파원] 북한의 기습적인 탄도 미사일 발사에 미국의 대북 기조가 강경 기류로 치닫고 있다. 미국은 물론 한국의 문재인 정부 출범을 계기로 잠시 주목 받던 대북 협상론에 쐐기를 박고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 공조의 고삐를 바짝 쥐어갈 태세다.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14일(현지시간) 북한이 문재인 정부 출범 나흘 만에 탄도미사일 발사에 나선 것을 두고 "'피해망상 상태'의 김정은(북한 노동당위원장)이 실시한 미사일 발사시험은 한국에 메시지를 보내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헤일리 대사는 ABC 방송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주장한 뒤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험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대좌하려는 방식도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상황에서 김정은을) 만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헤일리 대사는 또 "김정은이 우리가 내건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우리는 그를 만나지 않을 것"이라면서 "(앞으로) 북한을 더욱 거세게 압박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헤일리 대사의 이날 언급은 북한의 미사일 위협으로 평양 정권의 의지가 확인된 만큼 협상론을 조기에 차단하고 대북 압박에 주력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트럼프 대통령도 최근 '적절한 상황'에서라면 김정은 위원장과 만날 수 있다고 언급, 북한의 대화 복귀를 유도한 바 있다. 그러면서도 트럼프 정부는 한국의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대북 협상론이 부상하는 것에 대해서도 대북 공조를 강조하며 견제하는 등 다소 혼란스러운 모습도 보였다. 하지만 이번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분명히 교통정리를 하고 나선 셈이다. 한 발 더 나아가 트럼프 정부는 그동안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에 미온적이었던 러시아에 대한 압박을 높여가고 있다. 숀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이례적으로 "북한이 쏜 미사일이 러시아 영토에 매우 가까운 곳에 떨어졌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가 기뻐할 것이라고 여길 수 없다"고 밝혔다. 헤일리 대사 역시 인터뷰에서 "북한의 미사일 프로그램은 점점 러시아에 가까워지고 있다"며 러시아의 제재 동참을 압박했다. 미국 정부는 오는 16일 열릴 북한 미사일 관련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를 통해 러시아를 비롯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북 제재 이행을 촉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안보리는 최근 언론 성명을 통해 북한의 핵ㆍ미사일 실험이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라면서 '도발이 계속될 경우 '중대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따라서 미국 정부는 안보리 긴급회의에서 대북 제재 수위를 높여야 한다며 중국과 러시아 등의 적극 동참을 요구할 전망이다.

국제부 뉴욕 김근철 특파원 kckim100@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