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33% '일·가정 양립 위해 정시 출퇴근해야'

인사처, 국가공무원 3만7000여명 대상 설문조사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우리나라 공무원 10명 중 3명은 일·가정 양립을 위해 불필요한 업무를 줄이고 정시 출퇴근 문화가 정착돼야 한다는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인사혁신처가 지난달 국가공무원 3만69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불필요한 업무 감축'이 16.7%로 가장 많았고 정시 출퇴근 문화 정착을 선택한 비중은 16.6%에 달했다. 이외에 육아 휴직시 경제 지원 확대와 유연근무제 이용 활성화를 선택한 응답자는 각각 15.7%와 14.7%를 나타냈다.공무원들은 가장 필요로 하는 복지서비스로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시설 확대'(32.2%)를 꼽았다. '가족과 따로 지내는 공무원에 대한 주거지원 확대는 22%, 육아도우미 지원 서비스 도입에 대해서는 16.4%가 "꼭 필요하다"고 답했다.육아휴직은 초등학생 이하 자녀를 둔 여성 공무원 가운데 76.3%가 사용했다고 응답했다. 반면 남성 공무원 중에서는 9.8%가 육아휴직을 활용했으며 중학생 이상 자녀를 둔 경우에는 전체 응답자의 7.8%가 이용했다고 밝혔다.육아휴직을 충분히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경제적인 부분 때문이라고 답한 비중이 42.1%에 달했다. 또 업무평가, 승진 등 업무관련 불이익을 우려한다는 대답은 22.5%를 기록했다.응답자들은 육아휴직을 늘리기 위해서는 휴직 보수를 늘리고 육아휴직을 장려하는 조직분위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박제국 인사처 차장은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해 공직사화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한 인사관리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