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나영 기자]중국의 사드 관련 경제보복이 우리 금융시장에 미치는 타격이 일본과의 센카쿠 열도 분쟁 당시보다 훨씬 클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2일 정용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경제구조상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인한 경제적 타격이 과거 일본이 중국과의 센카쿠 열도 분쟁 당시 받았던 타격보다 훨씬 클 것"이라고 예상했다. 우선 일본은 GDP 대비 민간소비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데 비해 한국은 그 비중이 점차 축소되고 있다. 2015년 기준 일본의 GDP 대비 민간소비 비중은 56.6%인 데 비해 한국은 49.3%이다. 일본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편이지만 같은 기간 일본의 GDP 대비 수출규모는 17.6%에 그쳤고 특히 센카쿠 분쟁 있었던 2010년, 2012년에는 GDP 대비 수출 규모가 15% 전후였다. 반면 한국은 GDP 대비 수출 비중이 46%에 이른다.정 연구원은 "일본경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적고, 민간소비의 비중이 크다는 것은 중국과의 분쟁으로 대외 부문 타격을 받더라도 내수로 일정 수준 뒷받침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경제보복이 상대적으로 컸던 2012년 9월 센카쿠 열도 분쟁 당시 일본의 경제성장률을 보면 3분기 전년 동기 대비 경제성장률 -0.6%에서 4분기 -0.7%, 2013년 1분기 -0.9%로 둔화됐던 것 확인됐다. 정 연구원은 "2012년 10~11월 미국 재정절벽 우려, 2013년 초 그리스 부채 문제, 이탈리아 연정구성 실패, 키프로스 사태 등으로 글로벌 불확실성이 높았기 때문에 실제로 중국의 경제보복이 일본 경제 전체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반면 현재 우리나라는 대외 부문의 어려움을 내수가 뒷받침하지 못하는 상황이고 가계부채 문제, 높은 자영업자 비율,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중국과의 관계 악화가 상대적으로 경제에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다.정 연구원은 또 "1,2차 센카쿠 열도 분쟁 당시 일본 주가지수 엔화 환율을 보면 일본 금융시장이 중국인들에 대한 노출도가 낮았기 때문에 투자자금 회수로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는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정 연구원은 그러나 "2008년 12월 이후 한국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 누적 순매수 규모를 보면 중국인의 누적 순매수 규모는 올해 1월 기준 6조8000억원으로 전체 외국인 누적 순매수의 11%를 점유했다"며 "한국 경제와 주식시장이 일본보다 상대적으로 중국에 대한 노출도가 높아 중국의 경제보복이 강화될수록 불확실성 또한 높아져 여타 투자자의 매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박나영 기자 bohena@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박나영 기자 bohena@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