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서울시는 용산전자상가, 마장동 축산물시장, 영등포·경인로 일대 등 총 17개 지역을 2단계 '서울형 도시재생지역'으로 선정했다.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서울 용산전자상가, 마장동 우시장, 정동 역사문화지 등이 주민 참여형 정비사업에 나선다. 각 지역의 특성을 살린 개발·정비가 이뤄질 예정으로 소규모 재생사업과 주민역량강화사업 등이 추진된다.16일 서울시는 1년간의 준비기간을 거쳐 용산전자상가, 마장동 축산물시장, 영등포·경인로 일대 등 총 17개 지역을 2단계 '서울형 도시재생지역'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서울형 도시재생지역은 지역 주민이 직접 참여해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이번 사업지는 중심지재생지역이 7곳, 주거지재생지역은 10곳으로 계획됐다.앞서 서울시는 2015년 1월 도시재생본부를 출범하고 12월 2025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수립해 서울역 역세권 일대, 세운상가 일대, 창신·숭인 일대 등 13개 지역을 1단계로 선정한 바 있다. 1단계가 쇠퇴한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진행된다면 2단계 사업지는 도심은 물론 동북·서남권 균형 개발에 초점을 맞췄다.이번에 선정된 17개소는 중심지재생지역이 ▲경제기반형(최대 500억원 지원) 1개소 ▲중심시가지형(최대 200억원 지원) 6개소가 있고 주거지재생지역으로는 ▲근린재생일반형(최대 100억원 지원) 7개소 ▲주거환경관리사업 연계형(20억~30억원 지원) 3개소 등 4개 유형으로 나뉜다.규모가 가장 큰 경제기반형 1개 지역은 영등포·경인로 일대(79만㎡)가 선정됐다. 도심, 강남과 함께 3도심으로 꼽히고 있지만 산업구조 변화로 낙후된 점이 영향을 미쳤다. 향후 이곳은 서남권 성장을 견인하기 위한 광역 차원의 경제거점으로 개발된다. 중심시가지형은 역사적 의미가 있거나 도심 활성화의 잠재력을 지닌 곳으로 6곳이 꼽혔다. ▲중구 정동(대한제국 역사문화자산 재활성화·60만㎡) ▲성동구 마장동(마장축산물시장 활성화·55만㎡) ▲용산구 용산전자상가(상가를 통한 지역경제 살리기·21만㎡) ▲금천구 독산우시장(서남권 특화상권 조성·48만㎡) ▲동대문구 청량리·제기동 일대(역사·시장 관광자원화·49만㎡) ▲강북구 4.19사거리 일대(연계관광중심지·63만㎡) 등이다. 서울시는 구도심 개발로 임대료가 오르고 원주민이 내몰리는 현상을 막기 위한 방지책도 마련한 상태다. 마장 축산물 시장에서는 이미 건물주의 50% 이상이 상생협약에 동의했고 용산전자상가도 상인연합회·시설주·시와 협의체를 구성해 임차상인의 권리를 보호하기로 했다.주거지재생지역 10곳은 근린재생, 주거환경관리사업 연계형으로 추진한다. ▲수유1동(북한산 저층주거지) ▲창3동(창동골목시장 등 골목상권 침체) ▲불광2동(초·중·고교 밀집지역) ▲천연·충현동(역사문화자원 도심인접지) ▲난곡·난향동(경사지 노후주택 밀집지역) ▲안암동(고려대 캠퍼스타운 연계지역) ▲묵2동(중랑천 인접지)이다. 7개소 중 5곳은 뉴타운·재개발 해제지역이기도 하다.서울시는 근린재생일반형 가운데 이번에 선정되지 못한 곳들은 2017년 희망지사업 재응모 기회를 부여하기로 했다. 저층주거지는 노후화가 가속되고 있고 뉴타운·재개발 해제지역에 대한 대안사업 확대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지금까지 두 번에 걸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총 27개 선정으로 서울형 도시재생이 쇠퇴한 도심부 위주에서 서울 전역으로 본격 확대되는 전기가 마련됐다"며 "물리적 재생만이 아닌 경제, 사회, 문화를 포괄하는 인문적 재생을 통해 공동체의 복원과 지속가능성을 담보해나가겠다"고 말했다.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