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어붙는 소비…정부 '민간소비 둔화, 경기회복 지연'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수출·투자회복에도 불구, 소비가 둔화되면서 경기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기획재정부는 9일 '2월 최근경제동향(그린북)'을 통해 이같이 밝히며 "대내외 경제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1분기 재정 조기집행, 소비·투자·수출 활성화 등을 통해 경기·고용·민생여건 개선 노력도 강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기재부는 "최근 수출 회복세로 투자는 개선되고 있으나, 심리 위축의 영향 등으로 민간소비가 둔화되며 경기회복이 지연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소비가 기저효과·심리위축 등으로 인해 '다소 부진한 모습'이라던 지난달 그린북보다 평가가 다소 악화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경제동향 2월호에서 "소비심리 위축이 지속되는 가운데 민간소비 증가세도 점차 둔화되고 있다"고 분석한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정부가 최근 소비부진과 경기둔화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기재부는 최근 소비자심리지수 악화, 휘발유·경유 판매량 감소 등을 민간소비에 부정적 요인으로 봤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발표한 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93.3으로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휘발유·경유는 1월 판매량이 전년동월대비 7.3% 줄었다. 지난해 4분기 민간소비(속보치)는 전분기(0.5%)보다 낮은 전기대비 0.2% 증가하는 데 그쳤고, 지난해 12월 소매판매도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 감소 영향으로 전월비 1.2% 감소했다. 백화점과 할인점 매출액이나 신용카드 승인액 증가 등은 그나마 숨통을 틔워주는 요인이다. 백화점과 할인점 매출액은 지난달 각각 전년동기대비 4.3%, 13.4% 증가했고 카드 국내승인액도 17.1% 증가했다. 내수가 축소되는 가운데 설비투자는 수출호조에 힘입어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설비투자는 전기대비 6.3%, 12월 설비투자지수가 3.4% 증가했다. 지난달 수출이 조업일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석유류·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4년만에 두 자리 수(11.2%) 증가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기재부는 낮은 가동률 지속, 대내외 불확실성 등은 설비투자에 부정적 요인이나 수출 호조, 국내기계수주 증가, 기계류 수입 호조 지속 등은 긍정적 요인으로 평가했다.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앞으로도 내수 회복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기재부는 그린북에서 미국 신정부의 정책 불확실성과 소비심리 위축 등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인해 내수부문의 미약한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세계경제 역시 선진국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지속하고는 있으나, 보호무역주의 확산·영국의 하드 브렉시트 추진 등 리스크가 상존한다고 평가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