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4차 산업혁명 대비, 정부 주도 안 돼'

文 4차 산업혁명위원회 설치 주장엔 '70년대 박정희식 패러다임'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공동대표는 3일 "4차 산업혁명 대비는 정부 주도로 해선 안 된다.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며 "모든 것을 정부가 주도해 자율성을 뺏으면 아무런 새로운 시도가 없다"고 말했다. 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의 4차 산업혁명위원회 공약에 대해서는 "70년대식 발상"이라고 꼬집었다. 안 전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시대 대학교양교육 발전방안 토론회'에 참석해 "4차 산업혁명 대비는 민간에서 주도 하고, 정부에서는 기반을 닦는 일을 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안 전 대표는 먼저 4차 산업혁명과 기존 1~3차 산업혁명의 차이점에 대해 "여러 첨단기술이 발전·융합되고, 기술간 경계가 사라진다"면서 "특히 새로운 일자리도 생기지만 제조업은 물론 고급인력 일자리까지 기존의 많은 일자리들이 급감하게 된다. 우리에게는 위협이자 기회"라고 설명했다.이어 안 전 대표는 4차 산업혁명에 정부가 인프라 구축에 나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인력양성 ▲기술개발 ▲지식기반 축적 ▲규제완화 ▲인증 ▲표준화 등 6가지를 꼽았다.안 전 대표는 "박근혜 정부에서 새로운 것을 창조한다고 했지만, 정부가 주도해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며 "새로운 창조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율성"이라고 거듭 강조했다.안 전 대표는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자율성을 강조했다. 그는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대통령 직속 제4차 산업혁명위원회를 설치하겠다고 주장한데 대해 "4차 산업혁명을 정부에서 위원회를 만든다는 것이야말로 70년대 박정희 패러다임식 발상"이라며 "지금 창조경제가 그래서 실적이 없다"고 비판했다.한편 안 전 대표는 이날 포럼 축사를 통해 기업가정신 교육도 강조했다. 그는 "기업가정신을 사람들이 흔히 경영자 마인드로 착각하지만, 실제로는 불확실성에도 도전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라며 "특히 기존 기업가정신 중 잘못된 것은 지식 중심의 교육으로, 교수법도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