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생산분, 유럽 등지로 판매 고심"상황 나아질 때까지 버텨보자는 전략"中 '몽니'에 마땅한 대책 없어
▲중국에 진출한 삼성SDI 시안공장과 LG화학 난징공장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LG화학과 삼성SDI가 중국 현지에 설립한 전기차 배터리 공장의 가동률이 10% 안팎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의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으로 현지 판매가 그만큼 어려워졌다는 증거다. 국내 업계는 중국 현지 생산분을 유럽 등 수요 있는 다른 나라로 돌리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판매처를 해외 전체로 넓혀 떨어지는 가동률을 끌어올리려는 고육지책이다. 9일 업계 및 외신에 따르면 지난해 1~10월까지 LG화학과 삼성SDI의 중국 내 전기차 배터리 출고량은 각각 약 133.7 메가와트시(Mwh), 106.7Mwh에 그쳤다. 이는 중국 현지공장에서 생산한 물량과 한국에서 수입한 물량을 합한 규모다. LG화학과 삼성SDI 중국 공장의 연간 생산규모가 2~3 Gwh(2000~3000Mwh)인 점을 고려하면 공장 가동률은 채 10%가 안 된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정책 영향으로 중국 현지 판매량이 줄어든 것은 사실"이라며 "11~12월 판매량을 합해도 이 수준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LG화학과 삼성SDI는 2015년 10월 각각 중국 난징과 시안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세웠다. LG화학은 중국 공장의 연간 생산규모가 LG화학 전체 생산규모의 30%에 육박한다. 이들 공장은 모두 중국기업과의 합작 공장으로 가동 당시 한중 협력사례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삼성SDI의 경우 중국에 공장을 짓기로 최종 결정한 이유로 현지 발주처의 요구도 상당 부분 작용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지난해 1월 돌연 전기버스 보조금 지급 대상에 이들 기업이 생산하는 삼원계(NCM) 배터리를 제외시키면서 어려움이 시작했다. 삼성SDI의 시안 공장은 주로 전기버스용 배터리를 생산해 승용차용 배터리를 함께 생산하는 LG화학 난징공장에 비해 타격이 더 컸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런 와중에 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까지 겹쳐 규제는 더 강화되고 있다. 두 회사는 전기차 배터리 모범규준 인증 실패와 보조금 대상 축소로 사실상 중국 판매길이 완전히 막혔다. 판매가 부진이 공장 가동률에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업계는 사업전략 재검토에 들어갔다. 현재는 중국에서 생산한 물량을 해외로 돌리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상황이 나아질 때까지 생산 물량을 유럽 등 수요가 있는 해외에 판매하겠다는 것이다. 업계선 중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이 끝나는 2020년까지 어떻게든 버텨보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이 경우 유럽에 짓고 있는 배터리 공장 계획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LG화학과 삼성SDI는 각각 폴란드와 헝가리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짓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으로 꼽히는 중국을 포기하긴 쉽지 않다"며 "중국 현지에 공장을 세울 당시 중국에서 적극 환영할 땐 언제고 이제와서 다시 내쫓는 형국"이라고 안타까워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