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심근경색 2만, 뇌졸중 8만5천명…매년 발생

500병상 미만 중소병원 80% 차지

▲매년 우리나라에서는 급성심근경색 2만, 뇌졸중 환자 8만5000명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자료제공=국민건강보험공단]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매년 뇌졸중 약 8만5000명, 급성심근경색 2만 명의 환자가 새로 발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비해 인구 당 병상 수가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500병상 미만의 중소병원이 대부분(약 80%)을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은 2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건강보험 의료이용지도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우리나라 의료생활권(진료권)을 설정하고 지역 간 의료이용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입원진료 취약지 주민들은 병원이 많을수록 입원은 많이 하는데 자체충족률은 낮고 사망률은 높았다. 반면 진료권 내에 대형병원(500병상 이상)이 있으면 입원은 많이 하진 않는데 자체충족률이 높고 사망률은 낮았다. 대형병원이 없는 입원진료취약지에서 입원환자 사망률은 1.3배 높았고 이 같은 사망률 격차는 중증질환(1.88배)과 주요 수술(1.44배)에서 더 컸다2004~2014년 사이에 매년 평균 급성심근경색 환자 약 2만 명, 뇌졸중 환자 8만5000명이 새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러 병원을 거치지 않고 거주지 내 500병상 이상 병원에서 치료받은 경우를 적절하게 치료받은 것으로 정의할 경우 2014년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19%, 뇌졸중 환자의 21%에서만 적절하게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급성심근경색 환자는 퇴원 후 1년 내 사망률이 가장 높았는데 외래진료와 약 처방을 지속적으로 받으면 사망률을 최대 약 6분의1 수준으로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퇴원 후 사망률은 평균은 15%였다. 지역 간에 약 4배나 차이가 났다. 부산이 22.7%로 가장 높았고 전북이 5.6%로 가장 낮았다. 한 의료기관에서 계속 진료를 받을 경우 사망률이 크게 낮아졌다. 매번 다른 의료기관에서 진료 받는 환자에 비해 사망률이 약 3분의1 수준이었다. 성상철 이사장은 "건강보험 의료이용지도는 지역 간 변이를 확인하고 일차의료를 강화하는 등 국민들의 의료서비스 선택에 대한 정보제공과 보건의료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등 의료비 지출의 효율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