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AI재난안전대책본부' 확대…南지사 본부장맡아

남경필 경기도지사(오른쪽)가 지난 14일 포천시청 AI방역대책본부를 찾은 홍윤식 행정자치부장관의 이야기를 귀기울여 듣고 있다.

[아시아경제(의정부)=이영규 기자] 경기도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방지를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섰다.  경기도는 축산산림국 주관으로 운영되던 'AI가축방역대책본부'를 재난안전본부가 주관하는 'AI재난안전대책본부'로 확대 운영한다고 16일 밝혔다.  앞서 국민안전처는 지난 12일 AI시도 방역대책회의를 갖고 각 시도에 AI재난안전대책본부 설치를 요청했다.  도 관계자는 "AI피해 규모가 역대급을 기록할 만큼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경기도의 역량을 AI확산 방지에 집중하기 위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하게 됐다"며 "재난안전대책본부 설치로 축산부서에서는 현장 방역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되고 기타 인력, 예산, 보건, 환경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도 AI재난안전대책본부는 도지사를 본부장으로 재난안전본부장이 차장, 축산산림국장이 통제관, 동물방역위생과장이 담당관을 맡는다. 도는 종합상황반과 이동통제반, 매몰지원반, 유통수급반, 역학조사반, 초동대응반 등 기존 6개 실무반에 추가로 안전관리실과 기획조정실, 자치행정국, 보건복지국, 환경국 등 5개 부서가 참가하는 총괄지원반을 구성했다.  총괄지원반은 도 재난상황실에 별도 근무하며 ▲축산산림국 방역활동 지원 ▲방역활동 관련 공무원 및 자원봉사자 인력지원 ▲농장 종사자 방역인력 등 AI 방역인력의 감염 예방 ▲주요 철새서식지와 AI 발생 인근지역에 대한 예찰 활동 등을 맡게 된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AI재난안전대책본부 확대운영에 따라 도가 가진 모든 역량을 총 동원해 AI확산을 차단해야 한다"며 "더 이상 축산 농가들의 피해가 커지지 않도록 방역활동에 매진해 달라"고 당부했다.  남 지사는 AI재난안전대책본부 확대 운영에 이어 이날 오전 8시30분 화성시 향남읍에 설치된 거점소독시설을 방문해 현장 방역근무자를 격려하고 축산차량 소독 점검과 AI 현장방역에 동참했다. 한편, 경기도는 현재 54개 이동통제초소와 37개 거점소독시설 등 91개 방역시설에 하루 565명의 인력(공무원 347, 군경 64, 민간인 154)을 투입해 방역 활동을 벌이고 있다.  도는 그동안 예비비 25억4000만원, 특별교부세 9억원 등 총 34억4000만원과 도 비축 소독약품 7톤을 시ㆍ군에 지원했다. 또 가금류 직접종사자의 인체 감염을 막기 위한 독감백신 예방접종도 실시했다.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