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나영기자
▲ 대우조선해양이 건조한 100번째 LNG선인 그리스 마란가스(Maran Gas)社의 마란가스 암피폴리스(Maran Gas Amphipolis)호의 운항모습.
기아차를 늪에서 꺼낸 건 현대자동차였다. 98년 현대차는 기아차 지분 51%를 취득하고 경영권을 인수했다. 기아차 부채 7조1700억원을 탕감받는 것이 조건이었다. 당시 현대차도 기아차의 늪에 같이 빠질 것이란 우려도 많았다. 그러나 기아차는 보란듯이 22개월만에 법정관리에서 탈출했다. 인수된 지 18년만에 기아차는 몰라보게 달라졌다. 기아차의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은 39조 7982억원, 영업이익은 1조 9293억원이다. 대우조선도 인수합병 기회가 없었던 건 아니다. 대우그룹 해체 과정에서 지난 2000년 산업은행이 최대주주가 된 대우조선은 2008년 매각에 나섰다. 당시 대우조선의 가격은 6조3000억원. 우선협상대상자였던 한화그룹이 분할매수를 제시하자 산업은행이 거절했고, 노동조합도 반대하며 결국 인수합병에 실패했다. 이후 사태는 참담했다. 사장 연임을 둘러싼 로비와 분식회계와 같은 병폐들은 매각 실패 이후부터 벌어지기 시작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그 때 매각만 됐더라도 2000년 이후 지금까지 투입된 수조원의 국민 세금을 낭비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후로도 삼성중공업, 포스코, 한화, SK그룹이 대우조선을 사들일 것이란 설이 돌았지만 해프닝으로 끝나고 말았다. 매각 전에 먼저 법정관리부터 들어가 사업재편부터 제대로 해야한다는 의견도 있다. 박상인 서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채권단이 구조조정을 제대로 한 경우가 없다. 자금만 대주고 있다가 경기 살면서 같이 살아나기를 바라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이른바 도덕적 해이 문제가 해소가 안된다"며 "법원은 이런 이해상충이 없어서 구조조정을 해야한다면 법정관리를 시장에서 사업 부문 가치를 평가받고 사고파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